본문 바로가기

남해안종주이야기

남해버스터미널~남해군 설천면

성탄절 징검다리 연휴를 이용해 남해안걷기를 했다

 

 

남해공용터미널

진주에서 시외버스로 왔다

시점이다

 

 

 

 

천주교 마산교구 남해성당

고속버스도 거의 제시간에 왔고 남해행 시외버스도 바로 탄 덕에 터미널 뒤편에 있는 성당 · 절 · 향교를 들렸다

 

 

 

 

남해성당

피에타상이 정문 위에 있다

 

 

 

 

남해성당 제대

 

 

 

 

남해향교(南海鄕校)

세종 32년(1450)에 건립된 이래 수 차례 이전과 중수를 거듭하다가 고종 29년(1892) 이곳에 자리잡았다

 

 

 

 

법흥사

 

 

 

 

망운산 · 아산저수지

심천삼거리를 지난 지점이다

 

 

 

 

심천마을

바다 건너 창선도가 있다

 

 

 

 

창선도

심천리를 지나 이어리로 들어가는 길이다

 

 

 

 

불망비(不忘碑)

이어소류지 건너편 공원에 있다

 

 

 

 

남해 대국산성(南海 大局山城 · 경상남도 기념물 제19호)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대국산의 정상에 지어진 산성으로, 산꼭대기를 빙둘러 돌로 쌓았다

성의 둘레 1.5km · 성벽의 높이 5∼6m · 윗부분 폭은 2.4m인데

성벽의 바깥쪽은 깬돌을 이용하여 겹으로 쌓아 올리고 안쪽은 자갈과 흙을 섞어서 채워 성벽을 다졌다

성벽의 둘레에는 네모꼴의 망대(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세운 높은 대)가 있었던 흔적이 있다

성 안의 중앙에는 건물터와 연못터가 있으며, 천씨(千氏) 성을 가진 장군과 일곱 시녀 사이에 얽힌 전설이 있는 제사터가 있다

성의 동남쪽과 북쪽에 성문이 있었던 듯한데, 이중 동남쪽의 문이 정문으로 추측된다

 

 

 

 

남해 대국산성(南海 大局山城 · 경상남도 기념물 제19호)

축성 방법과 형태로 보아 삼국시대의 성으로 추정된다

 

 

 

 

성산삼거리 저수지

 

 

 

 

제주고씨 남해종문회(濟州高氏 南海宗門會)

성산삼거리 저수지 앞에 있다

 

 

 

 

도산마을

망운산이 보인다

 

 

 

 

망운산 · 대국산 등산로 들머리

 

 

 

 

오곡리 · 고현면 갈림길

 

 

 

 

현령불망비(縣令不忘碑)

 

 

 

 

남치리 · 대사마을 빗돌

남치리는 하동 방면에서 남해로 왕래할 때 붙여진 지명이며

대사마을은 신라 불교 전성시 관음사의 소재지로서 망덕사가 있었기에 붙여졌다

 

 

 

 

고현면사무소(古縣面事務所)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남해고현우체국

 

 

 

 

정지석탑(鄭地石塔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2호)

남해를 구해준 정지 장군(1347~1391)을 위해 남해주민들이 정성을 모아 손수 돌을 깎고 다듬어서 세운 석탑이다

정지 장군은 최영 · 이성계와 함께 고려 말 명장으로 남해안을 침략한 왜구를 무찌르는데 큰 활약을 했다

탑은 삼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높이가 2.25m로 소박하지만 엄숙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탑신 받침은 자연석의 큰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이락사 · 충렬사와 함께 남해가 나라와 백성을 구한 애국정신이 곳곳에 배어있는 호국의 땅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서있다

정지석탑이 있음으로 현재까지 마을 이름을 탑동으로 부르며 지금도 마을주민에 의해 잘 보존되고 있다

 

 

 

 

고현공설시장

 

 

 

 

탑동마을

남해군 고현면 대사리는 정지석탑으로 인해 탑동마을로 불린다

 

 

 

 

탑동마을 빗돌

 

 

 

 

녹동정사(鹿洞精舍)

남해면 고현면에서 살았던 선현 삼위를 봉안하고 있다

선현 삼위는 석계 김창성 · 회산 김유용 · 몽와 하한위를 일컫는다

이 삼인은 학식과 덕망이 높아 후학들을 양성하고 유교를 선위하여 남해 사람들에게 추앙받던 유학자였다

 

 

 

 

녹동사기(鹿洞祠記)

 

 

 

 

녹동사(鹿洞祠)

녹동정사 뒤에 있다

 

 

 

 

석계 김창성(石溪 金昌聲) · 회산 김유용(晦山 金裕鏞) · 몽와 하한위(蒙窩 河漢緯)

녹동사는 3분의 신위를 봉안하고 그 뜻을 받들기 위해 1922년 후학들이 녹동 정계를 조직하여 1978년 창건했다

석채례는 매년 음력 3월 18일 거행한다

 

 

 

 

남해 관음포 충무공유적지

건물 뒤 섬 같이 보이는 끝 부분에 첨망대가 있다

*

새로운 건물들이 세워지고 있다

 

 

 

 

이순신영상관

138석의 관람석을 갖춘 국내 최초의 돔형 입체영상관이다

1598년 음력 11월 19일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였던 노량해전을 입체 영상으로 보여준다

그 밖에 여러 전시장들이 있다

 

 

 

 

이락사(李落祠)

충무공 비각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이락사(李落祠)

충무공의 영구가 처음 육지에 안치되었던 곳에 공이 순국하신지 234년 후인

순조 32년(1832) 공의 8대 손인 이항권이 왕명에 의해 단을 모아 제사하고 비와 비각을 세워 이락사라 칭하였다

 

 

 

 

大星隕海(대성운해 · 큰 별이 바다에 잠기다)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이 이락사 · 대성운해 액자를 내리고 1973년 4월 사적으로 지정했다

 

 

 

 

충무공 이순신 유허비(忠武公 李舜臣 遺墟碑)

 

 

 

 

瞻望臺(첨망대)

남해 노량 앞바다에 이르면 관음포가 바라보이는 이곳이 삼도수군통제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께서 임진왜란 7년 전쟁 중 노량해전에서 순국하신 곳으로

이락산 마지막 지점(500m)에 첨망대를 세워 이충무공이 순국한 지점을 바라볼 수 있게 남해군에서 1990년 2층 건물로 건립하였다

첨망대에서 바라보면 노량해전의 전장이 한눈에 보인다

 

 

 

 

광양국가산업단지

첨망대 가운데 방향이다

 

 

 

 

대도 · 주지섬

첨망대 오른쪽 방향이다

 

 

 

대송산업단지

이락산 자락 너머로 보인다

 

 

 

 

處士梁公在洙頌德碑(처사 양공재수 공덕비)

 

 

 

 

차면(車面) 유래비

 

 

 

 

차면 마을

 

 

 

 

설천면 월곡리

 

 

 

 

덕신삼거리에서 오른쪽 1024번지방도로를 따라간다

감암마을을 거쳐 충렬사로 가는 길로 '이순신 호국길'이다

 

 

 

 

감암마을 굴막

 

 

 

 

굴막 아주머니가 굴을 먹어보라며 주셔서 빅터와 한 점씩 맛보았다

 

 

 

 

감암항 해넘이

 

 

 

 

해넘이사진을 만드는 빅터

 

 

 

 

해넘이

 

 

 

 

남해대교

남해군 설천면과 하동군 금남면을 잇는 한국 최초의 현수교로 1968년 착공하여 1973년 6월 준공되었다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이 시작된 곳이기도 하다

 

 

 

 

파라다이스모텔

등불이 켜져있는 남해대교 선착장 뒤로 보인다

마침점이다

 

 

 

 

거북선

1591년에 건조한 돌격용 전선으로 옛 선박 관련 기록을 참고로 하여 노산 이은상 등 학계 전문가 16명의 고증을 받아

1980년 해군 공창에서 복원하여 군사관학교에서 전시 관리하던 것을 국민과 청소년들에게 이충무공의 호국정신과 창의정신을 함양시키기 위해

 1999년 12월 31일 호국의 성지인 남해 충렬사 아래로 옮겼다

 

 

 

 

남해대교

저녁식사 후 숙소로 가며 봤다

 

 

 

 

GPS로 확인하니

걸은 거리 18.7km, 소요시간 5시간 35분

총 걸은 거리 243.2km, 총 소요시간 76시간 44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