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

백제시대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보원사의 옛터로 통일신라~고려초에 크게 융성하였으며

왕사 · 국사를 지낸 법인국사 탄문이 묻힌 곳이며

주변에 100개의 암자와 1,000여 명의 승려가 있었다고 전하는 대사찰이었다

이 절터에 신라와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대형 철불 2구가 있던 것을 중앙박물관에 전시 중이며

1967년도에는 백제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되는 등

유물로 보아 당시에는 매우 융성했음을 알 수 있으며

백제와 신라 · 고려초 불교미술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있는 사적지이다

유물로는 백제계의 양식 기반 위에 통일신라와 고려초의 석탑양식을 갖춘 5층석탑(보물 104호)

통돌을 장방형으로 파내어 만든 한국 최대의 석조(보물 102호)

975년(광종 26)에 법인국사가 입적하자 광종의 지시로 세운 보승탑(보물 105호)

법인국사의 생애가 기록된 보승탑비(보물 106호)

사찰에 불교행사가 있을 때 불기나 괘불을 걸기 위해 만든 당간지주(보물 103호)가 있다

가까이에 서산마애삼존불상을 비롯한 백암사지 등 불교유적이 집중되어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곳이다

 

 

가야산 옛 절터이야기

서산시 운산면 용현자연휴양림 가야산 일대는 조선시대 때 이 일대를 내포 지방이라 하는데

《택리지》에 따르면 충청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땅이라고 하였다


기운이 서린 명당으로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수행자들이 찾는 곳이었고

《승가람마 僧伽藍摩》의 성소(聖所)로 시대별로 많은 사찰들이 세워졌고

흔적만 남은 터(寺址)에서도 시대별 많은 불교 건축물과 유물 발견이 계속되고 있다

용현자연휴양림 산행코스와 계곡 일대에 국보 1점 · 보물 6점 · 기타 문화재 4점 등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다

불교용어와 관련된 지명이 유독 많고 수많은 불교 유적이 자리하고 있어 가히 불교문화 특구라고 할 수 있다

*

보원사지 · 백암사지 ·수리바위 · 일락사 등 4개 코스가 있다

 

 

 

 

강아지풀

보원사지 주차장 옆이다

 

 

 

 

개심사 방향안내판

보원사지 들머리에 있다

 

 

 

 

감나무

예전 많았던 감나무가 한 그루만 남았다

*

용현자연휴양림 방향이다

 

 

 

 

보원사지 당간지주 / 보물 103호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석조물이다

당간은 절 앞에 세워 부처나 보살의 위험과 공덕을 표시하고

사악한 것을 내쫓는 의미를 가진 당이라는 깃발을 다는 깃대이다

 

 

 

 

보원사지 당간지주 / 보물 103호 · 높이 4.2m

사악한 것을 내쫓는 의미를 가진 당이라는 깃발을 다는 깃대이다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의 위치에 놓여 있다

마주 보고 있는 두 지주의 안쪽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바깥쪽에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대(突帶)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기단부가 없어진 것을 화강암으로 새로 보강하였는데

주위에 흩어져 있는 여러가지 석재들로 보아 원래는 직사각형의 기단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보물 104호

석축을 쌓아 만든 금당터로 오르는 계단이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보물 104호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옛 보원사 터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현재 보원사 터 가운데 서쪽 사찰구역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 탑은 상하 2층의 기단 위에 5층의 몸돌과 지붕들을 올리고 정상에 머리장식이 있는 구조이다

현재 머리장식은 네모난 받침돌만 남아있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고정하기 위한 철제 찰주(탑의 중심기둥)가 꽂혀 있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보물 104호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백제와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석탑이다

기단의 이중 구조 · 상하층 기단 옆면에 돋을새김한 사자와

팔부중(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의 배치나 조각 수법 등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탑 모습이지만

조각이나 돌을 다듬는 기술 등은 다소 섬세하지 못한 점은 고려 석탑의 특징이다

또한 지붕돌이 얇고 넓어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네 모서리 끝이 살짝 들린 것은

옛 백제 지역에 남아 있는 백제 탑의 특색이다

1968년과 2003년에 해체 보수작업이 진행되었는데

1968년 해체할 때 사리구(舍利具 사리 용기)와 함께 납석제 소탑 (小塔 작은 모형 탑) 등이 나와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 전시 중이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안내판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팔부중상 / 동(앞면) 용(龍) · 긴나라(緊那羅)

용(龍) / 원래 인도의 나가라고 불리는 코브라신인데 중국에서 용으로 번역

용을 두른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왼손에 금강저를 들고 오른손은 용꼬리를 잡고 있다

*
긴나라(緊那羅) / 힌두교의 창조신인 브라흐마의 손톱 끝에서 태어나

천계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신으로 머리 위에 새가 올려져 있고

양 옆에 말머리가 표현되었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팔부중상 / 남(좌면) 건달바(乾達婆) · 야차(夜叉)

건달바(乾達婆) / 음식을 먹지 않고 대신 향을 즐기며 음악을 들려주며 천신들을 공양하는 신으로

머리에 사자관을 쓰고 공후고대 현악기를 켜고 있는 모습이다

우리나라에서 놀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건달이라 부르는 것은 여기서 유래한 말이다

*
야차(夜叉) / 나무신이자 지하의 광물을 지키는 신으로

염주와 같은 구슬을 입에 물고 있는 모습이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팔부중상 / 서(뒷면) 가루라(迦樓羅) ·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 광명의 신 비슈누의 상징이자 상상의 새를 신격화한 것으로

새 중의 왕이며 뱀과 용을 잡아먹는 신으로 새의 부리가 표현되어 있다

황금빛 새라고 하여 금시조라고도 한다

오른손에 금강저를 들고 왼손에는 불꽃무늬 보주를 쥐고 있다

*
아수라(阿修羅) / 귀신의 왕으로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 개인 모습이다

우리가 흔히 질서가 없이 흐트러진 상황을 아수라장이라고 하는 것은

여기서 유래된 것이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팔부중상 / 북(우면) 마후라가(摩睺羅迦) · 천(天)

마후라가(摩睺羅伽) / 원음악을 담당하는 신으로 머리 위에 뱀을 올려 놓은 모습이다

오른손은 금강저를 잡고 왼손은 뱀꼬리를 잡고 있다

*
천(天) / 하늘을 다스리는 천신으로 오른손에 금강저를 들고

왼손은 머리에 두른 큰 물고기의 꼬리를 잡고 있다

금강저는 하늘의 신을 대표하는 제석천의 지물부처나 보살 등이 손에 지니고 있는 물건이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팔부중상 배치도

 

 

 

 

금당지

금당지 주변에서 확인된 초석의 종류는

방형에 원형주좌가 도드라진 초석 · 고막이초석 · 귀고막이초석 등 3가지로 분류된다

 

 

 

 

철조불상 좌대

금당지의 중앙에는 철조불상을 모셨던 좌대가 남아 있다

 

 

 

 

철불(鐵佛)

충남 서산 전 보원사지 · 1918년 입수 / 남북국시대(통일신라) · 8~9세기

통일신라 불상은 토착적인 신라의 불상 양식을 기반으로

백제와 고구려 조각 양식을 흡수하는 한편

당나라 양식을 받아들이면서 통일신라만의 독자적인 양식을 성립했다

통일신라 불상 중 가장 완성된 예가 바로 8세기 중엽 경 석굴암 본존불이며

이 시기를 정점으로 통일신라의 불상 조각은 최고의 경지에 이른다

이후 신라 사회의 모순과 선종의 유행으로 약사불과 비로자나불이 등장하며

금동불이 줄어들고 철불이라는 새로운 불상이 유행했다

*

예전에 좌대에 있던 철불이다

2015. 1. 17

 

 

 

 

개심사 · 전망대 방향안내판

 

 

 

 

보원사지 당간지주 / 김기현

서산시 시(詩) 공모전 입상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보물 106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승탑 / 보물 105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옛 보원사 터에 세워진 탄문(坦文 900~975)의 승탑이다

탄문은 고려 초의 대표적인 화엄종 승려로써 광종 때 승려 최고 직위인 왕사와 국사를 지냈으며

말년인 975년(광종 26)에 보원사로 내려와 머물다가 3개월 만에 입적하였다

고려 왕실은 탐문에게  「법인」이라는 시호를 그의 승탑에 「보승 寶僧」이라는 이름을 내리고

국가의 최고 장인을 보내 승탑과 탑비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승탑은 탄문이  입적한 975년에서 탑비의 비문이 완성된 978년 사이에 완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승탑은 승려의 사리를 모셔 놓은 탑으로 사리탑 · 부도 · 묘탑이라고도 하며

사리를 넣어두는 몸돌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기단을 바치고 위에는 머리 장식을 얹는다

보원사지 법인국사탑은 통일신라 승탑 양식에 따라

머리 장식을 제외한 모든 석재가 팔각형으로 제작된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승탑이다

이 승탑은 몸 돌의 사천왕상과 보관을 쓴 인물상 · 지붕돌의 귀꽃 등의 조각이 매우 뛰어나다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안내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몸돌조각상 안내문

 

 

 

 

서산 보원사지 법인 국사탑비​

법인국사의 탑비로 978(고려 경종 3)에 경종의 지시로 세워졌다

비몸 높이 230cm · 폭 115cm · 글자 수 5,000 여자나 되는 큰 비이며

국공(國工)을 파견하여 이들이 세우게 했다

이분은 신라 말 ~ 고려초의 고승으로 법호는 탄문이다

비문의 내용은 탄문의 일대기이며 900년(신라 효공왕 4)에 출생하여

15세에 계(戒)를 받고 968년( 광종 19)에 왕사 · 974년 (광종 25)에  국사로 지내다가

이곳 보원사에 와서 975년(광종 26)에 입적하였다

역대 왕들과 가까웠으며 국가 시행 불사를 도맡아 시행하였고

특히 광종은 왕권강화 작업기간 이후

정신적인 지주로서 왕사 · 국사로 가까이 있게 했으며 입적하자 매우 슬퍼하였다

이분은 학승으로 제자가 많아 말년에 보원사에 올 때 선 · 교승(禪 · 敎僧) 천여 명이 영접했으며

이곳을 「고산 故山」이라 하고 여기에 와서 묻혔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금당지

금당지 왼편에서 「보원사 무차평등 수륙대재 재현회」를 준비중이다

 

 

 

 

철조불상 좌대

보원사지는 금당 앞에 1기의 탑이 있는 1탑 1금당 형식으로 조성되었다

 

 

 

 

보원사 무차평등 수륙대재 재현회

 

 

 

 

석가모니불

상단에 있는 불화다

 

 

 

 

지장보살 삼자탱

중단에 있는 불화다

 

 

 

 

아귀 부처

영단에 있는 불화다

 

 

 

 

원효대사 등 14인 펼침막

오른쪽에 있다

 

 

 

 

보원사

법당 · 종무소이다

 

 

 

 

보원사 법당

 

 

 

 

상왕산 보원사(象王山 普願寺) 현판

 

 

 

 

석불

 

 

 

 

철조여래조상 · 석조비로자나불상

 

 

 

 

고려철불좌상

 

 

 

 

보원사지 출토물

 

 

 

 

내포 가야산 성역화 보원사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금당지

보원사로 가며 봤다

 

 

 

 

보원사지 석조물

 

 

 

 

보원사지에서 나온 돌들이다

 

 

 

 

보원사지에서 나온 돌들이다

 

 

 

 

당간지주에서 금당지로 가는 다리

 

 

 

 

보원사지 당간지주

감나무가 옆에 있다

 

 

 

 

보원사지 석조 / 보물 102호

보원사지 석조는 화강석의 돌을 파서 만든 것으로 절에서 물을 담아 사용하던 용기다

안쪽과 위쪽만 정교하게 다듬고 바깥쪽은 거칠게 다듬은 것으로 보아

땅에 묻어두고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아 간결하고 소박해 보이지만 거대한 크기로 인해 웅장한 느낌을 주고 있다

내부에도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밑바닥은 평평하고 한쪽에 물을 내보내는 구멍이 있을 뿐이다

현재 남아있는 것 중에서 가장 큰 석조이다

 

 

 

 

보원사지 석조 / 보물 102호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978년(고려 경종 3)에 제작된 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을 비롯한 다른 석조물들과 관련시켜 볼 때

고려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보원사지 석조 / 보물 102호

주차장으로 가며 봤다

*

2024. 10. 13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선암  (2) 2024.10.17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0) 2024.10.16
서산시 · 예산군  (5) 2024.10.12
덕산향교  (1) 2024.10.12
헌종대왕 태실  (0) 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