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서산 용현리 암벽에 새긴 백제시대의 불상이다

중앙에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백제시대 법화경이 유행한 것을 보면

중앙은 현세불인 석가모니불 · 왼쪽은 미래불인 미륵보살 · 오른쪽은 과거불인 제화갈라보살이다

다만 가슴 앞에서 구슬을 들고 있는 보살입상은

당시 중국과 일본 불상을 근거로 관음보살 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일반적으로 좌우 보살이 대칭을 이루는 삼존상과 달리

이 삼존상은 오른쪽은 보살입상 · 왼쪽은 연화대좌 위에 앉은 반가사유상을 배치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조각 솜씨가 뛰어나고 평면적 부조이면서도 입체감을 살려 생동감이 넘치는데

특히 삼존상의 자비롭고 인간적 미소는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서산은 백제 사비시대 중국과 부여를 오가는 교통로의 중요 길목이었다

이 옛길의 길목에 새겨진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서산 지역과 중국과의 문화교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나무다리

마애여래삼존상 300m 안내판이 있다

 

 

 

 

계곡

나무다리를 건너며 봤다

 

 

 

 

관리사무소로 오르는 계단이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관리사무소

문화해설사가 있는 곳이다

 

 

 

 

유홍준 교수 추천

외국인이 꼭 봐야할 문화유산 답사 1번지 안내판

*

관리사무소에 붙어 있다

 

 

 

 

불이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으로 가는 문이다

 

 

 

 

불이문(不二門) 현판 / 원담(圓潭)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2단의 축대 위 바위에 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마애불 중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힌다

얼굴 가득히 자애로운 미소를 띠고 있어

당시 백제인의 온화하면서도 낭만적인 기질을 엿볼 수 있으며

《백제의 미소》로 잘 알려져 있다

빛이 비치는 방향에 따라 웃는 모습이 각기 다르게 보이는 특징이 있다

*

지붕돌과 조각 면이 앞쪽으로 10도 정도 기울어져 있어

삼존상이 비에 젖을 뿐 맞지는 않는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 보살입상 · 왼쪽 반가사유상이 「삼세불」로 조각되어 있다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불상은

「법화경」의 석가와 미륵 ·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서산은 백제 사비도읍기(538~660년)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로의 주요 길목에 해당하는 곳으로

마애여래삼존상 조성은 당시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백제 말기 화강암에 조각한 마애불로 본존 여래입상 · 보살입상 · 반가사유상을 조각

인도와 중국의 불교가 한반도에 정착한 국제교류의 핵심 유적이다

햇빛의 방향에 따라, 계절에 따라 미소가 다르게 보이는 백제 불상의 정수로 평가 받는다

*

해설사님에 따르면 아침 10시 경이

삼존불이 가장 빛나 보이는 좋은 시간이라고 하신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오래 전부터 마을사람들만 알고 있었던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59년이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발견 당시 재미있는 일화가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편에 소개되어 있는데

보원사 터로 조사나온 국립부여박물관장 홍사준 선생은

발견 당시 과정에서 한 나무꾼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한다

"부처님이나 탑 같은 것은 못 봤지만 유

저 인(印)바위에 가믄 환하게 웃는 산신령이 한 분 있는디유

양 옆에 본마누라와 작은 마누라도 있지유

근데 작은 마누라가 의자에 다리를 꼬고 앉아서

손가락을 볼따구를 찌르고 슬슬 웃으면서 용용죽겠지 하고 놀리니까

본 마누라가 장돌을 쥐고 박을라고 벼르고 있구만유

근데 산신령 양반이 가운데 서 계심시러 본마누라가 돌을 던지지도 못하고 있지유"

*

삼존상을 확인한 홍사준은 이 사실을 학계에 보고했고

이렇게 해서 1500년간 산 속에 있던 삼존상이 세상에 드러났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마애불은 절벽의 암벽이나 거대한 바위 면에 불교의 주제나 내용을 형상화한 것이다

인도의 석굴사원에서부터 유래하였으며

특히 중국 산동지방의 마애불은 백제의 대중국 통로인 서산 · 태안지역을 거쳐

우리나라 삼국시대 마애불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여래입상(如來立像) 높이 2.8m

연꽃잎에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있는 여래입상은 둥글고 풍만한 얼굴 모양에

반원형 눈썹 · 앝고 넓은 코 · 살구씨 모양의 눈을 크게 뜨고 미소를 짓고 있어

유쾌하면서도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법의의 양 어깨를 모두 걸친 통견의 모양으로 두껍게 표현하여

몸의 굴곡이 드러나지 않고 앞면의 U자형 주름이 다리까지 내려온다

 

머리 광배의 원 안쪽에는 연꽃을 새기고

바깥쪽에는 불꽃무늬를 새겨 보주형으로 조각했고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어깨 높이까지올린 모양의 「시무외인」과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내린 모양의 「여원인」을 표현하였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불상에는 이 두 손 모양을 함께 표현하고 있는데

이를 통인(通印)이라고 하며 약지와 새끼손가락을 구부리는 특징을 보인다

 

시무외인 중생의 두려움과 근심을 없애준다는 의미

여원인 중생의 원하는 바를 이루게 한다는 의미

 

여래는 진리에 도달한 사람이란 뜻으로

부처의 10가지 이름 가운데 하나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보살입상(菩薩立像) 높이 1.7m

머리에 다양한 무늬와 꽃으로 장식된 관(冠)을 쓰고 있는

보살입상은 눈과 입을 통하여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으며

양손으로 보주(寶珠)를 들고 머리에는 연꽃을 새긴 보주형 광배를 조각했다

보주를 두 손으로 받쳐든 보살상을 봉보주(捧寶珠)보살이라 하며

백제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마애여래삼존상의 이례적 구성은 당시 백제에 『법화경(法華經)』의 유행과 관련하여

석가에게 성불하라는 수기(授記)를 준 연등불 즉 제화갈라보살 표현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중국 남조와 일본의 아스카시대[飛鳥時代] 봉보주보살상을 토대로

관음보살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높이 1.66m

왼쪽 다리 위에 오른쪽 다리를 올리고, 왼손으로 발목을 잡고 있으며

오른쪽 손가락으로 턱을 받치고 있는 전형적인 반가사유상의 모습이다

천진난만한 미소를 짓고 있으며 머리에는 꽃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보관을 쓰고

뒤에는 연꽃이 새겨진 보주형 광배가 있다

보통 이 상은 석가가 태자였을 때 출가하기 전 고뇌하는 모습으로 태자사유상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번뇌하는 모습은 미래의 부처인 미륵으로 여겨진다

*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불상은

「법화경」의 석가와 미륵 ·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옆에서 보면 삼존불이 앞으로 10도 정도 기울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보 제84호

예전 축대를 쌓기 전 사진이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보호각

1965년 풍화 방지를 위해 설치한 보호각을 설치하였으나

보호각 시멘트의 백화현상과 통풍이 안되어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자연채광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2007년에 완전히 철거했다
*

예전 보호각이 있었던 2007년 이전 사진이다

*

2024. 10. 13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댕이 미륵불  (3) 2024.10.17
방선암  (1) 2024.10.17
서산 보원사지  (2) 2024.10.16
서산시 · 예산군  (3) 2024.10.12
덕산향교  (0) 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