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세운상가~을지유람

모처럼 서울 도심 걷기로 세운상가와 을지유람을 다녀왔다

지리적으로 가까운데다 느낌도 비슷해서다

 

 

단성사 터의 역사

좌포도청 터 · 천주교 신자들의 순교 터 · 동학 제2세 교주 해월 최시형의 순교터 빗돌 등이 있다

좌포도청이 있던 곳이라 이곳에서 많은 천주교인들이 순교했다

*

단성사는 1907년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인 상설 영화관이다

비공식적이긴 하지만 국내 최초의 극장은 단성사보다 12년이나 앞서 1895년 을미개혁이 단행되던 시점에 개관한 협률사(協律社)다

부산 출신 인천 갑부 정치국에 의해 개관된 협률사는 개항장 인천 이미지에 맞춰 「축항사」로 이름을 바뀌었다가 1926년경에「애관」으로 개명했다

*

전철 종로3가역이 시점이다

 

 

 

 

종묘로 가는 길이다

 

 

 

 

종묘 전교

종묘로 들어가는 입구의 하천인 회동 제생동천에 축조된 다리로 대동지지에서 이 다리를 「종묘전교(宗廟前橋)」라 하였다

처음엔 나무다리였던 것을 세종 3년(1421) 돌다리로 개축하였고, 이후 현종 4년(1663)에 개수한 바 있다

역대 왕들이 종묘에서 행하는 종묘대제를 비롯한 각종 주요행사 때에 이용하였던 중요한 다리였다

이 다리는 널다리 형식으로 정면 3칸 · 측면 2칸(폭 9.6m, 길이 6.9m) 규모인데 다리의 바닥 한가운데가 좌우보다 한 단 높은 어도(御道) 형식이고

다리가 설치된 가장자리 네 모서리에는 해태상을 새긴 화표주(華表柱)가 마련되어 있다

 

 

 

 

종묘 하마비(宗廟 下馬碑)

하마비는 조선시대 종묘 및 궐문 앞에 세워놓아 누구나 이곳을 지날 때 내리라는 명이 적힌 비석이다

기록에 의하면, 태종 13년(1413) 2월에 처음으로 예조의 건의에 의하여 종묘와 궐문 앞에 설치하였던 것이 하마비의 시원이 되었다

처음에는 나무로 제작되었으나, 현종 4년(1663) 종묘 전교를 개수하면서 석비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하마비의 전면에 새긴 내용이 至此大小人員下馬碑(지차대소인원하마비) · 또는 下馬碑(하마비)라고 한 것이 하마비의 계기가 되었다

이후 하마비는 종묘 및 궁궐 외에도 문묘 · 성현 · 고관의 출생지 등 여러 곳에 세워졌는데

이는 선열(先烈)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타고 가던 말에서 내렸음을 알 수 있다

 

 

 

 

세운상가

9층 옥상의 「세운 옥상」 · 2층 중앙의「종합안내데스크」가 있다

먼저 2층에 있는 종합안내데스크를 찾았으나 문이 잠겨 있었다

 

 

 

 

세운상가 입구에 있는 쉼터 조형물이다

 

 

 

 

시간의 축적(토층 이야기)와 발굴 유적

토층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흙이 겹겹이 쌓여 형성된 것이다

그 중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있는 층을 문화층이라고 한다

발굴조사에서는 현재 지표에서부터 원토층까지 총 10개의 토층이 확인되었다

이는 다시 조선 전기(15~16세기) · 조선 후기(17~18세기) · 근현대(19세기 이후) 등 3개 문화층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세운상가 유물전시관

근현대의 숫돌 · 숟가락 · 문패 등과 조선시대의 기와 · 가락바퀴 · 돌절구 · 청동기 · 도기 · 자기 등이 전시되어 있다

 

 

 

 

남산

세운옥상 중앙 채광창 왼쪽 써밋타워 2동 · 베스트웨스턴 호텔국도 빌딩 · 오른쪽에 중앙데코플라자 빌딩이 있다

 

 

 

 

종묘

종묘광장공원 · 북한산이 보인다

 

 

 

 

장사동

파인에비뉴빌딩 · 종로타워가 있다

 

 

 

 

두산타워

종로구 예지동 · 주교동 너머로 보인다

 

 

 

 

동대문 두산타워부터 을지로 써밋타워까지다

 

 

 

 

남산

을지유람길이 있는 입정동 일부는 벌써 헐리고 있다

 

 

 

 

세운상가

9층부터 바닥이 보이는 5층까지는 오피스텔이다

천정 채광을 가운데 부분을 텄다

 

 

 

 

세-BOT(실제 '세'자는 새와 세를 합친 'ㅅ† l'와 같은 글자)

새로운 세운상가의 첫 글자를 합친 "세"자와 로봇(ROBOT)의 "BOT"를 합친 이름이다

세운상가의 명성을 되찾고 더 나아가 서울의 중심에서 세계의 중심까지 새롭게 발돋움할 수 있는 명소가 되길 염원하는 작품이다

 

 

 

 

종로 세운상가 SpaceBa

wandering through(2019) / 돈(2015) / 돈(2016)

최유진 작품전이다

 

 

 

 

세운전자박물관

상설전시장이지만 토요일이여서인지 문을 닫았다

 

 

 

 

세운청계상가

세운교 앞에서 봤다

 

 

 

 

세운상가

 

 

 

 

세운청계상가 1층

 

 

 

 

세운청계상가 2층

 

 

 

 

을지스타몰 3구역 1번출구

 

 

 

 

을지유람 안내도

 

 

 

 

을지유람 바닥안내판

 

 

 

 

양미옥

김대중 대통령이 월 3회 정도 방문하여 대통령의 맛집으로 소문났다

 

 

 

 

세입자 대책없는 재개발 결사반대 !!

이곳을 지날 때 건설 중기의 쿵쾅거리는 소리가 크게 나자

이곳 점포 사람이 말한다 "이놈들아 좀 천천히 해라"

 

 

 

 

생존권쟁취 · 단결 투쟁 머리띠

삶의 가치와 무엇이 소중한지에 대한 서로 다른 시선과 현실적 이익의 갈등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곳이 되었다

 

 

 

 

쌓아논 물건이 많아 사용할 때 찾기도 어려울 듯하다

 

 

 

 

김기덕 감독의 영화 「피에타」 안내판

2012년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작이다

"청계천은 제가 16세부터 20세까지 일했던 곳이기도 하지만 기계산업과 전자산업의 수많은 새로운 모델이 개발된 곳입니다

현대 한국의 IT에 기초산업 기초아카데미로서 중요한 산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본주의 논리에 의해 곧 철거될 수밖에 없는 것이 안타가워 영화에 담아두고 싶었습니다"

 

 

 

 

철의 골목 / 장인의 화원

1953년 7월 27일, 3년간의 6 · 25전쟁이 휴전으로 막을 내렸다

전쟁의 상흔이 전국에 남겨졌을 때 실향민들은 생존을 위해 서울로 모여 들었다

서울은 폭증하는 인구를 감당할 수 없었고 주거환경과 경제는 모두 무너진 상태였다

서울의 공유 공간은 모두 생존을 위한 임시 거주공간으로 채워졌다

특히 현 세운상가 터에 만들어졌던 소개공지를 중심으로 산림동에는 무허가 판잣집들로 가득 메워졌고

일대는 도시재건과 생존을 위한 치열한 삶의 현장이 되었다

오랜 시간 거주자로서의 역활을 해온 지역이 생존을 위한 노동의 현장으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당시 공업에 종사한 분들의 손끝에서 무너져버린 대한민국의 산업이 태동하기 시작하였다

작게는 수도재건, 크게는 국가재건을 위해 을지로는 기꺼이 산업의 현장이 되었고 산림동 · 입정동 · 주교동 일대는 철공소들을 품게 되었다

산림동 일대에서 피어오른 공업의 불꽃이 한강의 기적을 만드는 초석이 되었다

 

어느새 우리네 삶에는 보릿고개가 사라졌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UN에서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성장하며 세계사의 희망이 되었다

하지만 풍요로워지는 물질 속에서 지난 시간을 통해 현재가 있도록 해주신 장인들과 지역의 가치를 잊어가고 있었는지 모른다

이에 산림동의 명칭에 걸맞게 식재(植裁)를 통해 지역의 지난 시간과 노고를 기념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장인의 화원을 조성하였다

 

장인의 화원이 산림동 일대에 쌓아온 지난 시간들의 해원(解寃)과 앞으로 올 사람들의 보은으로 연결되는 장소가 되길 기원하며

 

 

 

 

신세계미싱

산림동의 철공소 골목이 끝나갈 즈음에는 미싱수리점 골목이 시작된다

재봉틀을 영어로 Sewing machine인데 일본식 발음으로 미싱이라 부르고 있다

 

 

 

 

을지유람 마침점 안내판

 

 

 

 

GPS로 확인하니

걸은 거리 11.1km, 소요시간 4시간 59분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지유람  (0) 2019.02.09
세운상가  (0) 2019.02.09
철원 소이산  (0) 2019.02.07
연천 고대산 역고드름  (0) 2019.01.25
경기도삼남길 제5길(중복들길)  (0) 201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