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5호)은 고려말 공민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하나 명확한 기록은 없다
다만, 신숙주의 객관기(客館記)에 1456년(세조 2) 왜구의 침입으로 영광읍 터를 옮긴 기록이 보여 이때 향교도 현 위치에 옮겨왔을 가능성이 크다
향교는 평지 배치의 일반적인 형식인 전묘후학의 형태다
외삼문 내 전면에는 대성전 · 동 · 서무가 있고 대성전 뒤편 막돌담장을 경계로 하여 명륜당과 동 · 서재가 있다
일설에는 성균관이 1400년(정조 2)에 화재로 소실되자 이를 복원하면서 영광향교의 배치를 참고하였다 한다
이곳에서는 공자 · 안자 · 자사 · 증자 · 맹자의 오성(五聖)과 유교 숭상 인물 20명의 위패를 모시고 해마다 봄 · 가을에 제를 지낸다
만화루(萬化樓)
근년에 소실되어 1987년에 복원했다
도동리
만화루에서 봤다
대성문
은행나무 위세가 대단하다
대성문(大成門)
외삼문이다
대성문(大成門) 현판
대성전(大成殿)
5성(五聖) · 송조2현(宋朝二賢) ·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대성전(大成殿) 현판
대성문
문의 크기로 은행나무의 위세를 알 수 있다
대성문
동무(東廡)
동무(東廡) 현판
은행나무 보호수
나무 높이 23m · 둘레 6.8m · 나이 680년 · 지정일자 1974. 9. 25
서무(西廡)
서무(西廡) 현판
은행나무 보호수
나무 높이 23m · 둘레 7.3m · 수령 680년 · 지정일자 1974. 9. 25
*
세 가지가 나뉜 곳에서 새로운 줄기가 나오고 있다
전사고(典祀庫)
명륜당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이 있다
명륜당 · 동재 · 서재
대성전 뒤편 막돌담장 너머로 봤다
명륜당(明倫堂)
3월 14일 전라남도 내 군 단위에서는 최초로 영광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되어 총 10여 차례 7,600명이 참여하였다
1차 독립만세 운동은 3월 14일 영광보통학교(현 향교 명륜당)에서 조철현 · 이병연 · 학생대표 정헌모 · 허봉 · 조술현 등이 주도하였다
막돌담장 너머로 봤다
성생문(省牲門)
대성문이 왼쪽 계단 위에 있다
성생문(省牲門)
향교 삼문이 오른쪽에 있다
성생문(省牲門)
막돌담장과 배수구가 친근감을 준다
성생문(省牲門) 현판
숙정문(肅正門)
영광향교(靈光鄕校) 정문이다
영광군 3 · 1운동 발원지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독립만세 함성이 점화된 후 3월 14일 전라남도 내 군 단위에서는
최초로 영광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시작되어 총 10여 차례 7,600여 명이 참여하였다
1차 독립만세 운동은 3월 14일 영광보통학교(현 향교 명륜당)에서 조철현 · 이병연 · 학생대표 정헌모 · 허봉 · 조술현 등이 주도하였으며
2차 독립만세운동은 3월 15일 영광읍 남천리 박정환의 직포공장에서 김은환 · 정인영 · 조희방 · 박병문 · 박정순 · 서순빈 · 유두화 · 김준헌 등이 주도하였다
*
숙정문 앞에 있다
명륜당(明倫堂)
맞배지붕 좌우에 지붕을 덧달아 구조가 특이하다
왼쪽 제관실 · 오른쪽 임원실 · 임원실 옆에 전교실이 있다
제관실(祭官室)
명륜당(明倫堂) 뒤편
전교실이 측면에 있다
서재(西齋)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서재 등 다수의 건물이 손실되었으나 서재는 2000년도에 원형복원하였다
서재(西齋) 현판
동재(東齋)
은행나무 보호수
나무 높이 23m · 둘레 7.2m · 나이 680년 · 지정일자 1974. 9. 25
*
정면에 비자나무가 있다
비자나무 보호수
나무 높이 15m · 둘레 4.2m · 나이 680년 · 지정일자 1974. 9. 25
전사고 · 창고 · 고직사
거사 이중신 모성비(居士 李中信 慕聖碑) · 영광문묘(靈光文廟) · 영광향교중수비(靈光鄕校重修碑)
영광향교 연혁비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주교 영광순교자기념성당 (0) | 2021.11.28 |
---|---|
영광 도동리 석장승 (0) | 2021.11.28 |
법성버스정류장 (0) | 2021.11.28 |
영광 법성진성 (0) | 2021.11.28 |
영광 마라난타사 (0)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