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전주향교

전주 향교(사적 제379호)
고려말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위치는 지금의 경기전 근처였으나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봉안하기 위한 경기전이 준공되자
1410년(태종 10) 전주성의 서쪽 황화대(黃華臺) 아래로 이전하였다
그 뒤 1603년(선조 36) 순찰사 장만(張晩)이 부성(府城)과 너무 떨어져 있고
객사를 기준으로 좌사우묘지제(左社右廟之制)에 어긋난다 하여 조정에 보고
왕의 재가를 받아 순찰사 장만과 유림들이 힘을 합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전주 향교 홍살문 · 하마비
9시 전이라 향교가 문을 열지 않아 한벽당을 들렸다 다시 왔다

 

 

전주향교 하마비
하마비에는 「과차자개하마(過此者皆下馬)」라 적혀 있는데, 한자 개(皆)의 경우는 마멸이 심해 확인이 어렵다
*
이제까지 보았던 대부분의 하바비에 비해 길쭉한 형태가 독특하다
하마비 상 · 하단의 색깔로 보아 하마비 밑부분이 한동안 땅속에 파묻쳤던 것으로 보인다

 

 

만화루(萬化樓)
전주향교 정문에 세워진 2층 누각으로 정면 3칸 · 측면 2칸의 중층 팔작지붕 건물이다
유생들의 여름철 강학과 향시장으로 이용되어 왔다
전주향교 외삼문이다

 

 

만화루(萬化樓) 현판

 

 

전주향교 중수공적비군
전주향교와 관련한 빗돌로 만화루 옆에 있다

 

 

일월문(日月門)
정면 3칸 ·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전주 향교 내삼문이다

 

 

전주향교 대성전(全州鄕校 大成殿 전북유형문화재 제 7호)
대성전은 공자를 모신 사당이다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는 향교에 공자를 모신 사당을 두고, 유학을 장려했다
이 대성전은 효종 4년(1653)에 다시 세우고, 대한제국 융희 원년(1907)에 다시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의 위패를 가운데 모시고, 동 · 서쪽으로 맹자 등 네 성인
공자의 제자 열 사람 · 주자 등 중국 송나라 때 유학자 여섯 사람을 함께 모셨다
동무 · 서무에는 신라시대 설총을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 나라 유학자 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향교에서는 매달 음력 초하루 보름에 사당에 향불을 피워 올리고 매년 봄 · 가을에는 석전대제를 지냈다
관청의 후원을 받아 향교의 선비들이 주관하여 치뤘던 이 제사는 공자의 뜻을 기리는 큰 행사이다
*
대성전은 일월문을 들어서면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 측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로 세 개의 전도가 있다

 

 

서무(西廡) · 은행나무(암)
전주향교의 경우 동 · 서무의 크기가 전면 9칸 · 측면 2칸으로 굉장히 크다
이는 과거 전주 지역의 격이 높았음을 알 수 있는 지표다
건물은 1603년에 건립되었다가 1987년에 해체 복원된 건물이다

 

 

서무(西廡) · 은행나무(암)
전주향교가 이곳으로, 서기 1603년에 이전 설립할 때 심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향교에는 은행나무를 필수적으로 심는데, 그 이유는 은행나무가 선비 정신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은행나무는 오래 사는 나무 · 나무 자체가 강하여 벌레를 타지 않는다 해서, 일명 선비나무라고도 한다
선비는 어떠한 유혹에도 결탁하지 않는 정신 · 탐관오리가 되지말고 · 부패하지 말고
성실한 사람이 되라는 선비 정신과 같은 상징적인 정신을 같이 하는 나무이기 때문이다
*
음양의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김해동이란 사람이 암컷나무 옆에 수컷나무를 식수하였다고 한다
나무 높이 30m · 둘레 10.4m · 나이 400년 · 지정일자 1982. 9. 20

 

 

동무(東廡) · 은행나무
동무 · 서무에는 유약(有若) · 복불제(宓不齊) · 복승(伏勝) · 동중서(董仲舒) · 한유(韓愈) · 이통(李侗)과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동무는 전면 9칸 · 측면 2칸으로 1603년에 건립되었다가, 1987년에 해체 복원된 건물이다

 

 

동무(東廡) 은행나무
나무 높이 30m · 둘레 5.5m · 나이 350년 · 지정일자 1982. 9. 20

 

 

대성전(大成殿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호)
5성(五聖) · 10철(十哲 )· 송조 6현(宋朝六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대성전(大成殿) 현판

 

 

대성전 옆 은행나무
나무 높이 20m · 둘레 3.7m · 나이 250년 · 지정일자 1982. 9. 20

 

 

명륜당(明倫堂)
대성전에서 봤다

 

 

명륜당(明倫堂)
명륜의 뜻은 인간사회 윤리를 밝힌다는 의미로 맹자 등문공편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행함은 모두 인륜을 밝히는 것이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선시대 인재 양성과 학문부흥을 위하여 유학을 가르치던 강당으로 국민의 도의정신과 사회정의를 부식하고 교화하는 근원이 된 건물이다
조선시대 관학의 성격을 띄고 양반 자재 90명을 정6품 교수 1명 · 종9품 훈도를 두어 4서5경을 가르쳤다
건물은 전면 5칸 · 측면 3칸 · 일익공 맞배 가적지붕에 전면은 교차무늬 창살문에 눈썹천장에
도리가 길게 뻗어나온 114.4㎡의 건물로 1603년에 건축되어 전국에서 가장 오래된 명륜당으로 유명하다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 · 명창대첩 · YMCA야구단 등을 촬영한 곳이기도 하다

 

 

명륜당(明倫堂) 현판

 

 

서재(西齋)
서재는 유생들의 기숙사 역할을 하던 곳으로 서재의 평면은 동재와 같으나 실의 구성이 다르다
평면은 5칸의 방과 1칸의 대청으로 이루어지며 방 앞에는 모두 툇마루를 시설하였다

 

 

서재 앞 은행나무
나무 옆에 있는 사람으로 미루어 굉장히 큰 나무다
나무 높이 32m · 둘레 6.6m · 나이 380년 · 지정일자 1982. 9. 20

 

 

동재(東齋)
명륜당 기준으로 왼쪽 동쪽에 있는 동재는 정면 6칸 · 측면 1칸 · 반 칸의 퇴를 두었는데 6칸 모두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의 가운데 4칸 앞에는 툇마루가 시설되어 있으며 양 측면의 방에는 툇마루가 없다

 

 

장판각(藏板閣)
전국 향교중에는, 전주향교만이 유일학게 인쇄 원문 구조의 목판본을 보유하였는데
서적을 발간 하여 공부하는 유생들에게 배포하여 공부시킨 곳이다
장판각에는 목판본은 총 9,600판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간할 수 있는 책은 자치통감강목 · 주자대전 · 성리대전
율곡전서 · 사기평림 · 동의보감 · 사략 · 호남삼강록 · 주서백선 · 증수무원록 · 언해를 보유했다
현재는 판본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고 역사적 보존 분야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보관중이며
향교 앞에 원판본 문화관을 건립하여 목판본을 일반이 볼 수 있게 전시하고 있다
명륜당 서재의 북쪽 뒷편에 있다

 

 

계성사(啓聖祠)
5성위(공자 · 안자 · 증자 · 자사 · 맹자)의 아버지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우리나라 전국 234개의 향교 중 제주향교 · 전주향교에만 있다
계성사에 모신 5성위의 고위는 공자의 아버지 제국공 공숙량흘 · 안자의 아버지 곡부후 안무유
증자의 아버지 내무후 증점 · 자사의 아버지 사수후 공리 · 맹자의 아버지 주국공 맹격을 모시고 있다
*
강학공간 서쪽에는 계성사가 있는데 주위를 담으로 둘러 별도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계성사는 원래 명륜당의 동쪽에 있었으나 1929년 철도 부설로 인해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계성사(啓聖祠) 현판
계성사는 전면 3칸 · 측면 1칸으로 1741년(영조 17년) 판관 송달보가 건립하였다
상량문은 정광 이기보가 썼다

 

 

화장실

 

 

고직사(庫直舍)
명륜당 서재 뒷편에서 협문으로 들어오면 정면에 보인다
고직사와 우측 담장 사이 협문으로 나간다

 

 

남안재(南安齋)
고재 이병은(顧齋 李炳殷) 선생의 고향인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에서 서당으로 쓰던 한옥을
1956년 이곳으로 옮겨와 심성을 수양하고 후학을 기르며 가르치던 곳이다
*
남양사(南陽祠)
남안재 뒷쪽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사당으로 전주향교를 유지시키는데 많은 역할을 한 고재 이병은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선생은 조선 유학을 지키면서 일제 단발령에 맞서 상투 자르기를 끝까지 거부했다고 한다

 

 

입덕문(入德門)
전주향교 바깥에서 제향공간인 대성전쪽을 통하지 않고 강학공간인 명륜당으로 바로 통할 수 있는 문이다

 

 

입덕문(入德門) 현판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풍남문  (0) 2021.11.07
전주 전동성당  (0) 2021.11.07
전주 한벽당  (0) 2021.11.07
전주한옥마을 1  (0) 2021.11.06
전주 자만벽화마을  (0)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