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송현동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수도국산의 원래 이름은 만수산(萬壽山) 또는 송림산(松林山)이다
이 주변 일대가 매립되어 바다가 땅으로 변하고 공장이 지어져 사람들이 몰려들기 전 이 언덕은 바닷가의 조용한 소나무 숲이었다
송림산은 산 언덕에 소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으로 송현동(松峴洞 · 솔 고개) · 송림동(松林洞 · 소나무 숲)의 지명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소나무를 베어내고 언덕에 정착하여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달동네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송림산이 수도국산으로 산 이름이 바뀌게 된데에는 근대 개항기 인천의 역사와 관련이 깊다

인천은 본래 우물이 적을 뿐 아니라 수질 또한 나빠서 개항 이후 증가한 인구와 선박으로 물 확보가 큰 고민이었다

일제 통감부의 강압에 의해 한국정부는 1906년 탁지부에 수도국을 신설하고 인천과 노량진을 잇는 상수도 공사에 착수하였다
수도국산이라는 명칭 은 이곳에 수돗물을 담아두는 배수지(配水池)를 설치하는데서 생겼다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1960~70년대 달동네였던 수도국산의 모듬살이를 재현해 놓았다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예전엔 지하였는데 이젠 1층으로 들어간다

 

 

 

 

우리사진관

학생 교복과 오래된 카메라 몇 종이 전시되어 있다

 

 

 

 

사진관 벽에 붙어 있는 사진이다

 

 

 

 

1960~70년대 동인천 풍경

1960, 70년대 인천의 중심지는 동인천역 부근이었다

 

 

 

 

뮤직박스가 있는 다방

사진관 옆으로 양장점 · 문구점 · 솜틀집 등이 있다

 

 

 

 

송현동 달동네 모습

지하층으로 내려가는 계단에 있다

 

 

 

 

수도국산 달동네를 기억하시나요?

수도국산은 소나무가 많다는 뜻으로 만수산 · 송림산으로 불렸다

 

 

 

 

수도국산에 달동네가 생기기까지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인 갑진년(1904)에 왜병이 전환국(지금의 전동) 근처에 주둔하였는데

이때 주민들을 강제로 철거시켜서 송현동 산 언덕에 새로운 주거를 정해 주었다고 한다"

- 고일의 "인천석금(仁川昔今) 1955년 -

 

 

 

 

달동네 모듬살이를 재현해 놓은 지하층이다

 

 

 

 

달동네 풍경

오른쪽은 공중화장실 앞에서 줄서 기다리는 풍경이다

 

 

 

 

"그 때는 인정이 있었지 우리 아이 남의 아이 따로 없이 다 한가족이었거든"

철거되는 벽에 써있는 글이다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달동네

1960, 70년대를 거치면서 우리 사회는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인구 도시집중이 가속화되었다

고향을 등지고 도시로 모여든 사람들의 자화상은 당시 예술가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러한 사회현실의 변화가 자연스럽게 당시 예술 작품에 반영되었다

 

 

 

 

달동네 나영숙 극본 드라마대본

문학에서 당시 달동네사람들의 삶을 그린 작품으로는 현덕의 남생이(1938) ·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78) 등이 대표적이다

이밖에도 도시서민의 소박한 삶을 소재로 큰 인기를 끌었던 TV드라마 달동네(1980) ·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1982)과 같이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달동네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여러 분야에서 제작되었다

 

 

 

 

달동네의 어제와 오늘

달동네와 같은 '도시 저소득층의 집단 밀집 주거지'의 시초는 일제강점기 '토막민촌'이다

토막민촌은 일제의 수탈을 피해 농촌에서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올라온 이들이 주인 없는 산비탈이나 개천가에 허가 받지 않고 지은 것이다

 

 

 

 

70년대 달동네 삶을 재현하다

달동네 집들은 경사면에 위치하고 좁은 공간에 여러 집이 있다보니 수도나 변소를 집집마다 둘 형편이 못되었다

결국 공동으로 화장실과 수도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수도국산 달동네에는 경제적 형편이 어려워 학교를 다니지 못한 사람들이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모여서 공부할 수 있는 야학당도 있었다

 

 

 

 

교복 · 시계 · 사진 등과 신문 벽지가 흥미롭다

 

 

 

 

송림동 재개발현장에서 2005년 수거한 벽지

1962년 발행년도가 있는 신문부터 1972년 신문 · 국화 등의 꽃무늬 문양의 벽지 등 총 11겹으로 이루어져 있다

 

 

 

 

밤하늘의 달과 별이 보이는 동네, 달동네

달동네라는 용어가 널리 쓰인 것은 1980년 TV 일일연속극 달동네 방영 이후다

 

 

 

 

당시 수도국산 달동네 문패 · 연탄구매권 · 수도국산 배수지 사진엽서 등이 전시되어 있다

 

 

 

 

수도국산 사진엽서

배수지와 제수변실이 보인다

 

 

 

 

연탄구매권

물자가 부족하던 시절의 연탄은 구매권을 배급 받아야 살 수 있었다

1966년 10월 아랍산유국의 단유로 연탄이 부족하다는 소문이 돌면서 품귀현상이 빚어져

한 장에 10원하던 연탄값이 17원까지 폭등했었다고 한다

 

 

 

 

뻥튀기와 폐지를 주워 선행하시던 분

 

 

 

 

민의원 · 전국구비례대표후보 선거 벽보

 

 

 

 

은율솜틀집

1960년대 이전부터 동인천 구름다리에는 솜틀집이 모여 있었다

*

지금은 경인선 복복선 공사로 헐리고 없어졌지만 화평동냉면거리에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솜틀집인 은률면업사도 있었다

 

 

 

 

송현상회

 

 

 

 

대지이발관

 

 

 

 

예전 그림액자에 자주 들장하는 풍경이다

 

 

 

 

공중수도

 

 

 

 

루핑집

수도국산달동네에는 1960년대 후반까지도 초가가 많았다

지붕 재료인 짚(이엉)을 파는 장사들이 배를 타고 수문통 일대까지 들어와 장사진을 이루었다

1971년부터 지붕개량사업이 시작되면서 초가지붕은 시멘트 슬레이트 지붕이나 기와지붕으로 바뀌었다

가난한 사람들은 지붕을 개량할 형편이 되지 않아 '루핑집'에서 살았다

'루핑'이란 두꺼운 종이 같은 섬유제품에 아스팔트를 먹인 지붕 방수재료이다

루핑은 태풍은 물론 바람이 조금만 세게 불어도 날아가 버려 사람들을 애타게 만들었다

 

 

 

 

공중화장실

붉고 어두운 전구를 사용했었다

 

 

 

 

영화 · 계몽포스터

 

 

 

 

할아버지 할머니 사진 · 가훈 · 부적 · 청화백자

 

 

 

 

일생 사진액자

태어나서 학교 다니고 결혼하고 손주사진까지 있다

 

 

 

 

시대를 느끼게 하는 포스터 · 함석 굴뚝

 

 

 

 

5 · 16군사혁명 특집화보

 

 

 

 

결혼기념 사진액자

벽에 걸려있는 액자는 친구들이 결혼기념으로 선물한 것인데 인내 · 행복이 써있다

앉은뱅이책상 앞에는 〈우등생은?〉이란 다짐이 붙어 있다

 

 

 

 

차지철 연력

 

 

 

 

청산학원(야학당)

지역주민의 고증에 따르면 1960~70년대에 활발했던 배움터로 추정되며

1980년대에 들어서는 산마루공부방 · 송현샘공부방 등이 그 명맥을 이었다

 

 

 

 

기념품판매소

만화와 달동네 동영상도 볼 수 있다

 

 

 

 

만화방

보신 후 제자리에 꽂아주세요

 

 

 

 

수도국산 달동네 동영상

시간은 재어보지 않았지만 한 5분 정도 길이다

 

 

 

 

기획전시실은 전시가 없다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동구 화평동  (0) 2016.03.26
인천 동구 송림동  (1) 2016.03.19
인천 동구 송현동  (0) 2016.03.11
인천 중구 전동  (0) 2016.03.01
인천 중구 인현동  (0) 201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