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인천 중구 전동

전동은 응봉산(자유공원) 동쪽 완만한 경사면에 자리잡은 동네다

1884년 갑신정변 때 일본군이 이곳에 주둔하자 주변으로 일본인들이 따라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동네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군대가 철수한 후에는 전환국이 고종 29년(1892)에 자리 잡았다

1900년 전환국이 용산으로 옮겨간 뒤 인천부 부내면에 속하게 되는데

1906년 부내면이 동을 몇 개 늘릴 때 전환국이 있었다는 점 때문에 전동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인현동 방향

시점인 동인천역에서 봤다

 

 

 

 

동인천 삼치거리 안내판

동인천동주민센터와 인천문화재단 공연창작연습실이 오른쪽에 있다

얼마 전까지 인천 중구문화원이 있었다

 

 

 

 

전환국 터

인천문화재단 공연창작연습실 앞 공영주차장 터가 옛 전환국이 있던 인천여고의 운동장 자리다

 

 

 

 

동인천동주민센터

내동 · 경동 · 용동 · 전동 · 인현동을 관할하고 있다

 

 

 

 

구적 한국시대 조폐소 지적(舊蹟 韓國時代造幣所之蹟) 빗돌

그 옆에 전환국이 옮겨간 후 세워진 인천여고 옛터 빗돌이 있다

 

 

 

 

전환국 터(典阛局址) 닷 량 동전 조형물

주화를 제조하던 전환국 자리로서 종전 사용하던 상평통보가 무거워 고종 22년(1885)에 서울에 전환국을 설치, 1887년부터 서양식 주화를 제조하였으나

주화 제조에 필요한 동을 일본에서 수입 사용한 관계로 원료 운반이 용이한 이곳으로 1892년 5월에 이전 조업하였다

경인철도가 완공된 후 1900년 8월 서울 용산으로 이전했다

 

 

 

 

예전 전환국 사진

1892년 5월 착공하여 그해 12월에 준공했다

1,550평 대지 위에 벽돌조 3동 건물은 한국 정부 최초의 양식 건축이었는데

1908년 인천여고가 설립되어 교사로 사용되다가 1926년 교사 신축을 위해 철거되었다

 

 

 

 

인천여자고등학교 옛 터 빗돌

전환국이 용산으로 떠난 후 인천여자고등학교 전신인 인천여자실과학교가 설립된다. 이 학교는 전형적인 일본인 학교였다

1917년 한국인 학생 1명이 처음으로 입학하였고 1945년 광복 때까지 98명만 졸업했다

한국 학생들은 한 학급에 두어 명밖에 없었고 보통 입학 경쟁률이 20대 1에 달해 합격자 명단이 신문에 게재되곤 했다

이들 중 이옥경은 인천고녀를 졸업하고 도쿄 일본여자음악학교에서 공부한 후 경성방송국 최초의 여자 아나운서가 된다

그가 우리나라 여성 패션 디자이너 노라노의 어머니다

 

 

 

 

명경지(明鏡池)

중구보건소 앞 마당에 있다

 

 

 

 

예전 해관과 은행 그리고 전환국 사택으로 사용되었던 일본식 주택과 한옥 골목이다

 

 

 

 

나무전봇대

아직 현역으로 쓰이고 있다

 

 

 

 

해군병원 터(지금 천주교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1946년 6월 14일 통위부 내 의무국을 설치하면서 우리나라 군은 의료 활동을 시작한다

정부수립 후 해안경비대에서 독립해 창설한 해군은 1952년 11월 1일 해군본부 직속하에 해군 인천병원을 설립했다

이 병원은 1964년 10월 포항으로 이동했다

 

 

 

 

인일여자고등학교

 

 

 

 

인천 조선은행 은행장 사택(지금 한국은행 합숙소)

일제강점기에 인천조선은행 은행장 사택으로 마당에는 아름드리 회화나무가 서 있다

 

 

 

 

예전 전동변전소 터(빌라촌)

일제강점기부터 도심지에 전력을 공급했던 곳이다

 

 

 

 

운교(雲橋)

경인철도가 개통되던 즈음에 7m 정도의 높이로 설치됐다

그 때는 나무다리라 썩지 말라고 검은 염료를 발랐는데 일본인들은 흔히 「흑교」라 불렀다

해마다 가을이면 인천여상에 있던 신사에서 출발한 일본인 축제행렬이 이곳을 지나갔다

이 광경을 보기 위해 구경꾼들이 구름다리 위에 구름처럼 모여들었다 한다

 

 

 

 

송월초등학교로 오르는 계단 옆 골목이다

 

 

 

 

인천송월초등학교

 

 

 

 

청라국제도시 방향

송월초교 언덕에서 봤다

 

 

 

 

자유유치원

1906년 독일 상인 파울 바우만의 주택이 있던 곳이다

산 끝자락 가파른 곳에 있어 바다를 조망하기 좋은 곳이라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을 두 번이나 지낸 사이토 마고토의 별장으로 사용되다

인천상륙작전 때 건물의 일부가 파괴되었고 1955년 완전히 철거되었다

총독 사이토는 1919년 8월 13일 조선에 부임하러 온 날 당시 경성역에서 나운규 열사의 저격을 받았다

 

 

 

 

인천지방해양안전심판원

 

 

 

 

인천기상대

1905년 1월 1일 인천측우소 청사가 세워지고 초대 소장으로 일본 중앙기상대장을 지낸 와다 박사가 부임했다

당시 인천측우소는 국내 13개 도시에 있는 측우소는 물론 만주지방 측우소까지 총괄했다

 

 

 

 

자유공원

MBC 「오만과 편견」 자유공원 촬영지 안내판이 있다

 

 

 

 

인천항

월미산이 보인다

 

 

 

 

성덕당(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427호)

1935년 건립된 제물포고 강당으로 지하 1층 지상 1층이다

 학교 강당의 기능을 했을 뿐 아니라 인천지역 대형 집회 공간으로 이용해온 역사적인 장소다

당시 제물포고 학생들이 많은 애국지사 등의 강의를 들으며 청운의 꿈을 키웠던 곳이다

 

 

 

 

성덕당 실내

학식은 사회의 등불 · 양심은 민족의 소금

길영희 교장이 정한 교훈이 강당 양편에 걸려있다

 

 

 

 

유한흥국(流汗興國)

땀을 흘려야 나라가 발전한다

성덕당 앞에 있다

 

 

 

 

길영희(吉瑛羲) 동상

1900년 평북 사천에서 태여나 평양고보를 졸업하고, 경성의전에 재학 중 1919년 학생 대표로 3 · 1운동에 나섰다가 체포되었다

도산 안찬호 선생을 만나 민립 농과대학을 설립하기로 결심하고

1939년 인천에 내려와 만수동에 후생농장을 만들어 문맹퇴치운동, 농촌계몽운동을 벌여나가다 광복을 맞았다

그 해 11월 인천중학교 교장으로 부임하고, 1954년 제물포고를 설립해 16년간 인천중, 제물포고 교장으로 재직하였다

퇴임 후에도 충남 예산군으로 내려가 '가루실농민학교'를 설립해 농민들과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에 힘을 쏟았다

 

 

 

 

동인천 삼치거리

전국구 명성을 얻고 있는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뒷길 삼치거리다

이 골목길이 삼치거리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은 1966년 '인하의 집'이 현재의 자리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서 삼치와 막걸리를 팔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예전 이곳에는 일제강점기에 「후까미양조장」, 광복 후에 「소성주」라는 인천막걸리의 토대가 된 「대화주조」라는 양조장이 있었다

 

 

 

 

인하의 집

동인천 삼치거리의 원조다

양조장은 응봉산(자유공원)과 연결되는 수맥에 지하수를 뚫어 약수로 술을 빚어 술맛이 좋았기 때문에

술은 자연스럽게 막걸리가 나왔고 안주로는 인근 부두에서 싼값에 팔리는 삼치를 튀겨 내놓았다

이후 삼치를 곁들인 막걸리집들이 들어서더니 지금은 열대여섯 집의 참치거리가 되었다

 

 

 

 

예전 약수탕 터(공영주차장)

자유공원과 연결되는 수맥이 물 맛이 좋아 주변에 양조장들이 많았지만 물 좋은 대중목욕탕도 한몫했다

 

 

 

 

전동떡집

60년 가까이 찹쌀떡만을 만들어온 전통떡집이다

70~80년대만 하더라도 국회의원 선거 때나 명절 때면 찹쌀떡을 사방으로 퍼날랐을 정도로 장사가 잘됐고

찹쌀떡을 사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달렸을 정도였다

지금도 서울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주문이 줄을 잇고 있을 정도라 한다

 

 

 

 

인천 호프집 화재 희생자 추모비

1999년 10월 30일 시내 몇 고등학교에서 축제가 끝나고 그 기분을 이어가기 위해

학생들은 동인천역 부근 호프집으로 몰렸고 한 호프집 화재로 인해 57명의 학생이 희생됐다

화재 현장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뒤뜰에 있다

 

 

 

 

인현동 전자상가

서울이 세운상가라면 인천은 인현동 전자상가였지만 지금은 한가하다

일제강점기 때 마쓰다양조장 건물이었던 빨간 벽돌건물은 한때 디스코장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동인천역

마침점이다

 

 

 

 

GPS로 확인하니

걸은 거리 6.3km, 소요시간 3시간 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