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고려궁지

고려가 몽골군의 침략을 피해 고종 19년(1232)에 강화도로 천도한 이후 최우는 2천 명의 군사를 동원하여 이곳에 왕궁을 건립하였다
규모는 작으나 궁궐과 관아의 명칭을 개경의 궁궐과 같게 하고 뒷산의 이름도 송악이라 하였다
이후 대몽항쟁기 39년간 고려 왕궁으로 사용하다가 몽골과의 화친 후
고려 왕이 개성으로 환도하게 되자(1270) 몽골의 요구에 따라 궁궐 건물과 성곽을 모두 파괴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에 행궁 · 유수부 건물과 함께 민가까지 들어서면서 고려시대 궁궐의 모습이 사라졌다
현재의 고려궁지는 고려시대 궁궐 영역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래의 영역은 동서남북으로 뻗어나간 대규모 공간이었다
또 조선 인조 9년에 옛 고려 궁터에 행궁을 지었으나 병자호란 때 청군에게 함락되었다
그후 다시 강화유수부의 건물을 지었으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의해 거의 불타 없어져 지금은 동헌과 이방청만 남아있다
이곳은 끊임없는 외세의 침략에 저항한 우리민족의 자주정신과 국난극복의 역사적 교훈을 안겨주는 곳이다

 

 

승평문(昇平門)
강화 고려궁지 삼문이다

 

 

 

 

외규장각(外奎章閣) · 강화유수부 동헌(江華留守府 東軒) / 유형문화재 제 25호

 

 

 

 

강화유수부 동헌(江華留守府 東軒) / 유형문화재 제 25호
조선시대 강화의 행정 책임자인 유수가 업무를 보던 중심 건물이다
인조 16년(1638) 유수 김신국이 수리하였고, 영조 45년(1769) 유수 황경원이 현윤관(顯允觀)이라 하였다
명위헌(明威軒)이라는 현판은 영조 대 명필인 백하 윤순(尹淳)이 쓴 것이다
건물 구조는 정면 8칸 ·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겹처마 단층집으로 1977년 강화 중요국방유적 복원정화사업으로 정비되었다

 

 

 

 

외규장각(外奎章閣)
외규장각은 조선 정조 때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설치된 곳으로 특히 왕이 친히 열람하는 어람용 의궤를 보관하던 곳이다
어람용 위궤의 표지는 특별하게 비단으로 사용하고, 종이는 고급 초주지(草住紙)를 사용하였으며
해서체로 정성들여 글씨를 쓴 다음 붉은 선을 둘러 왕실의 위엄을 더했다
병인양요때에도 외규장각에 보관중이던 은괴 19상자와 함께
프랑스 군의 눈을 자극한 것도 채색비단 표지에 선명한 그림으로 장식된 어람용 의궤들이었다
*
병인양요때 프랑스군들이 양헌수장군에세 패하자 후퇴하며 불태웠다
이 결과로 5,000여 권 이상의 책이 소실되었고 의궤(儀軌)를 비롯한 340여 책의 문서 및 은궤 수천 량이 약탈되었다
얼마전 프랑스에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를 전시했었다

 

 

 

 

외규장각 내부
외규장각은 조선 정조 때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설치된 곳으로
특히 왕이 친히 열람하는 어람용 의궤를 보관하는 곳이다

 

 

 

 

남산 · 혈구산
외규장각 뒷편 고려궁지 터에서 봤다

 

 

 

 

회화나무
고려궁지 윗쪽에 있다

 

 

 

 

회화나무 보호수
나무 높이 20m · 둘레 6m · 나이 400년 · 지정일자 2001. 8. 6

 

 

 

 

외규장각(外奎章閣) · 강화유수부 동헌(江華留守府 東軒)

 

 

 

 

강화동종(江華銅鐘)
강화유수 윤지완이 주조한 것을 그 후 숙종 37년(1711) 유수 민진원이 정족산성에서 현재와 같은 형태로 다시 주조한 것이다
높이 198cm, 입지름 138cm로 조선 후기 동종으로는 큰 규모이다
몸통 중앙에는 굵은 줄이 둘러 있고, 그 아래에 만든 시기를 알 수 있는 글이 새겨져 있다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간을 알리는데 사용되었다
종각은 당시의 강화산성 남문 주변인 김상용 순절비 자리에 있었던 것을 1977년 강화 중요국방유적 복원정화사업 때 고려궁지로 이전되었다
1999년 10월 종에 균열이 생겨 더 이상 타종하지 못하게 되자 강화동종을 복제하여 설치하고 원래의 종은 강화역사관으로 옮겨 보관 전시하고 있다

 

 

 

 

강화유수부 이방청(江華留守府 吏房廳) / 유형문화재 제26호
강화유수부 행정 실무자들이 업무를 보던 곳이다
효종 5년(1654) 유수 정세규가 세웠고, 정조 7년(1783) 유수 김노진이 내부를 수리하였다
1915년 이후 등기소로 사용되다가, 1972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원역~인천역  (0) 2012.01.15
연미정  (0) 2012.01.15
강화문학관  (0) 2012.01.15
용흥궁  (0) 2012.01.15
강화성공회성당  (0) 201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