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우리나라 초기 근대 건축물로서 대한민국 금융의 역사와 함께 해 온 유서 깊은 건물이다

1907년 일본 제일은행이 사용하기 위해 공사를 시작했으나 1909년 대한제국의 중앙은행으로

(구)한국은행이 설립되어 준공 이후에는 (구)한국은행 건물로 사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구)한국은행이 조선은행으로 개칭되고, 1912년 건물이 완공된 뒤에는 조선은행 본점 건물로 이용되었다

2001년 한국은행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화폐박물관으로 개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 / 중앙은행은 화폐의 변천과정에서 탄생

2천년이 넘는 오랜 기간 동안 금이나 은으로 만든 금속화폐가 사용되었는데, 금속화폐는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였다

이에 따라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이탈리아에서는 무역업을 하는 상인들이

나중에 금속화폐로 지급해 줄 것을 약속하는 어음을 발행하여 금속화폐 대신에 사용하였다

17세기 들어 영국 사람들은 금 세공업자에게 금속화폐를 맡기고 이를 되돌려 받을 수 있는 예탁증서를 받아 돈 대신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상인이나 금 세공업자들은 본래의 업무보다 어음과 예탁증서를 많이 취급하게 되면서 은행을 세워 경영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이들이 발행한 어음과 예탁증서가 점차 지폐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이들 초기 상업은행은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발행 지폐에 상응하는 금 · 은 등의 보유율을 낮게 유지하였고

이들 은행 중 일부는 파산하면서 경제 전반에 큰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지폐를 발행할 수 있는 은행의 자격을 제한할 필요가 생겼으며

그 결과 왕이나 정부에 대출을 하고 세금을 관리해 주며 지폐를 독점적으로 발행할 수 있는 특별히 허가된 상업은행이 설립되었다

19세기 들어 정부의 은행으로 설립된 초기 중앙은행은 상업은행의 기능을 줄이는 대신

다른 은행으로부터 여유자금을 예탁 받고 지폐를 독점적으로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토대로

다른 은행들에게 부족자금을 대출해 주는 은행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현대적 의미에서의 중앙은행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탄생

1945년 8월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는 물자부족과 남북분단 등으로 큰 혼란에 빠졌다

물가는 지나치게 오르고, 금융 질서는 어지러워져 이를 바로 잡는 일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중앙은행을 설립하자는 논의가 사회 각계에서 활발히 일어났으며

미국 뉴욕연방준비은행에서 나온 블룸필드 박사가 한국은행법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1950년 5월 한국은행법이 제정되었으며, 한국은행는 통화금융정책 · 은행감독

외국환 관리에 관한 광범위한 정책기능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중앙은행으로서 1950년 6월 12일 업무를 개시하였다

 

 

 

 

한국은행법에서 정한 한국은행이 하는 일

물가안정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 1조

화폐를 발행하고 / 47-53조의 3

통화신용정책을 수립 · 집행하며 / 1조 28조 54-70조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도모한다 / 1조 87-88조 96조

은행의 은행과 정부의 은행 역할을 수행하고 / 54-67조 71-78조

지급결제제도를 운영 · 감시한다 / 81조 81조 2

외화정책을 수행하고 외환보유액을 관리하며 / 82-84조

경제에 관해 조사 · 연구하고 통계를 작성한다 / 86조

 

 

 

 

대형 천칭 · 분동과 분동보관함

금을 사들일 때 무게를 쟀던 저울로 1998년 「범국민 금 모으기 운동」 당시에도 사용되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도모하고 금융안정에 유의

한국은행은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나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통화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금융안정에도 유의하고 있다

 

 

 

 

통화안정증권 일십만원 · 통화안정증권 일천만원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 총재, 감사를 중심으로 운영

 

 

 

 

금융통화위원회는 7인의  합의제 정책결정기구

 

 

 

 

통화신용정책을 수립하고 집행

일반적으로 경제 규모에 비해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풀려 있거나 금리가 지나치게 낮으면 물가가 상승하거나 경기가 과열된다

반대로 시중에 돈이 너무 적거나 금리가 지나치게 높으면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실업자가 늘어나게 된다

한국은행은 물가를 안정시켜 궁극적으로 나라 경제가 꾸준히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돈의 양과 금리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한다

 

 

 

 

은행의 은행 · 정부의 은행

한국은행은 개인이나 기업과는 거래를 하지 않고 은행을 상대로 여유자금을 예치받고 돈을 빌려주는 은행의 은행이다

은행은 고객의 예금인출에 대비하여 지급준비금을 한국은행에 맡기게 되어 있으며

이 자금은 평소 은행들 사이에 일어나는 거래에 대한 결제자금으로도 이용된다

*

한국은행은 국민이 내는 세금 등 국고금을 정부로부터 받아두었다가 정부가 필요로 할 때

정부 자금이 부족할 때에는 일시적으로 돈을 빌려주기도 하는 정부의 은행이다

 

 

 

 

금융시스템의 안정 도모

 

 

 

 

외국 중앙은행, 국제금융기구 등과의 협력과 교류

 

 

 

 

한국은행의 국민을 위한 경제교육

 

 

 

 

경제조사와 통계작성

한국은행은 국내외 경제 관련 조사 및 연구를 실시하고 우리나라 경제에 관한 여러가지 통계를 작성 · 발표한다

이들 자료는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을 수립 · 집행하거나, 일반 국민이 경제를 이해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외환보유액을 운용하고 외환시장의 안정을 도모

한국은행은 환율이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쏠림현상 등으로 환율이 급격하게 변동할 경우 정부와 함께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한다

 

 

 

 

지급결재제고를 운영하고 감시

한국은행은 경제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금거래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금융회사들이 주고받는 자금의 결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완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과 금융회사들을 온라인으로 연결한 한국은행 금융결제망을 직접 운영한다

한국은행은 은행들 간에 주고받는 자금 · 증권사 간에 주식과 채권을 사고파는 자금

그리고 외국은행과 국내은행 간에 주고받는 외환 등의 최종결재를 한국은행 금융결제망을 통해 처리한다

 

 

 

 

우리나라 화폐를 발행

 

 

 

 

최초의 한국은행권 발행 공고용 아연판

 

 

 

 

최초의 한국은행권 천원권 · 백원권

 

 

 

 

소전(素錢)

금속을 눌러 펴서 주화 두께의 원판을 만든 다음 이를 주화 크기로 잘라낸 것을 소전이라고 한다

소전은 도안이 들어가지 않았을 뿐 완성된 주화의 규격과 모양을 갖추고 있다

 

 

 

 

석고판

주화의 소재 · 크기 등을 결정하고 디자인이 확정되면 디자인한 그림을 정밀하게 조각(凸)한 석고판을 만든다

 

 

 

 

수지판

석고판에 합성수지를 부어 단단한 수지판(凹)을 만든다

이 수지판은 원극인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완제품 · 원극인 · 극인(劇印)

소전에 주화의 무늬 · 글자 · 숫자 등을 대량으로 새기기 위해서는 인쇄판 역할을 하는 물체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극인이다

그리고 이러한 극인을 만들어 내는 틀을 원극인(原劇印)이라고 한다

하나의 극인으로 만들 수 있는 주화는 대략 17만 개이다

 

 

 

 

금화 · 은화 · 백동화

새로운 주화를 발행할 때는 먼저 여러가지 소재로 시험제품을 만들어 비교 · 검토한 다음 한 가지를 선택하게 된다

위 주화들은 금속 합금 비율을 각각 다르게 하여 만든 시험제품들이다

 

 

 

 

화폐의 일생 / 화폐의 제조

 

 

 

 

화폐의 제조부터 발행까지

화폐의 도안 결정에서부터 최종적으로 화폐가 완성되기까지는 적어도 2년 정도가 소요된다

 

 

 

 

화폐의 순환

한국조폐공사가 제조한 화폐는 한국은행에 납품되어 보관 · 발행 · 유통 · 환수 · 정사(整査) · 폐기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화폐의 순환이라고 한다

 

 

 

 

사용할 수 없는 화폐는 잘게 자르거나 녹이는 방법으로 폐기

 

 

 

 

돈 깨끗이 쓰기

 

 

 

 

손상화폐 교환 · 불에 탄 은행권은 원형을 유지하여야 손해가 없어

 

 

 

 

화폐의 일생

 

 

 

 

위 · 변조 방지를 위한 노력

1990년대 전

많은 나라들이 은행권 용지 자체의 특성이나 특수한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위조에 대응하였다

그 예로 숨은 그림 · 볼록인쇄 · 미세문자 · 인쇄방식 등을 들 수 있다

*

1990년대 이후~200년대 초반

기존의 위조방지장치에다 부분노출은선 · 요판잠상 · 시변각잉크 및 돌출은화 등의 위조방지장치를 보강하였다

호주연방준비은행은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폐의 소재를 면소재에서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머로 바꾸었다

*

2006년대 이후~

디지털기기 · 컬러프린트 · 스캐너 등의 성능 향상으로 위조지폐가 늘어나자 위조방지장치를 강화한

입체형 부분노출은선 · 띠형 홀로그램 등을 새로이 적용하였으며

현금취급기기에서 위조지폐 적발이 용이하도록 기계감응장치를 개선하였다

 

 

 

 

형광인쇄 · 시변각 · 위조지폐 사례

 

 

 

 

위 · 변조 화폐 신고요령

 

 

 

 

위 · 변조 화폐 식별법

숨은그림 · 돌출은화 · 숨은 은선 · 홀로그램 · 앞뒷면 맞춤 · 요판잠상 · 색변환잉크 · 입체형 부분노출은선 등이 있다

*

아래 버튼을 누루면 위 화폐 모형에 불이 들어온다

 

 

 

 

포토존

 

 

 

 

우리나라의 고대화폐

물물교환시대

구석기시대부터 만주와 한반도에 정착하기 시작한 한민족은 신석기시대에 들어와

농경법을 익히고 정착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물품을 서로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물품을 마련하였다

*

물품화폐의 등장

물물교환이 점차 늘어나자 사람들은 누구나 원하면서도 합치거나 나누기 쉽고

운반이 편리하며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물품을 교환수단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것이 화폐의 시초인 물품화폐이며 대표적으로 조개껍질 · 곡물 · 농기구 · 소금 등이 있다

*

고조선부터 삼국시대까지의 화폐

기원전 957년, 고조선에서 자모전(字母錢)이라는 철전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나 실물은 남아있지 않다

삼한시대에는 철기문화가 발달하면서 철이 화폐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마한에서 동전이 주조되고(기원전 109년) 동옥저에서 금은무문전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뒷받침할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삼국시대에는 금속으로 제작된 주화보다 쌀과 조 · 비단과 삼베 같은 물품화폐가 더 널리 사용되었다

*

1층 화폐광장이다

 

 

 

 

돌화살촉

 

 

 

 

돌화폐

 

 

 

 

돌대팻날

 

 

 

 

조개화폐

 

 

 

 

동탁

 

 

 

 

금동제 귀걸이

 

 

 

 

동방울

 

 

 

 

동곳

 

 

 

 

포전(布錢) / 중국 · 전국시대(BC 475~221)

 

 

 

 

대천오십(大泉五十) / 중국 · 신新(9~24)

 

 

 

 

오수전 / 중국 · 한韓(BC 206~AD 9) · 화천(貨泉) / 중국 · 신新(9~24)

 

 

 

 

동화살촉

 

 

 

 

동자귀

 

 

 

 

철화살촉 · 철자귀

 

 

 

 

고려시대의 화폐 / 918 

대외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여러 종류의 금속화폐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996년 우리나라 최초의 금속화폐인 건원중보가 발행되었고

우리나라 지형을 본떠 만든 은병과 은 덩어리를 쪼개어 사용하는 쇄은 등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 화폐들은 주로 상류층에서 사용되었고, 일반 백성들은 곡물 및 옷감 등의 물품을 화폐 대신 사용하였다

*

조선시대의 화폐 / 1392

조선은 중앙집권체제의 강화를 위해 각종 제도를 정비하면서 그 일환으로 화폐를 발행하여 유통체제를 지배하고자 하였다

건국 초기 우리나라 최초의 지폐인 저화와 주화인 조선통보 · 십전통보 등이 발행되었으라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본격적인 화폐의 유통은 숙종 4년(1678) 발행된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사용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상평통보는 조선의 대표적인 화폐로서 200여 년간 널리 사용되었다

 

 

 

 

건원중보(乾元重寶) / 고려, 성종 15년(996)

 

 

 

 

무문철전(無文鐵錢) / 고려 10세기

 

 

 

 

동국통보(東國通寶) / 고려 목종 원년~숙종 2년(998~1097)

 

 

 

 

삼한통보(三韓通寶) / 고려 숙종 2~10년(1097~1105)

 

 

 

 

해동통보(海東通寶) / 고려 숙종 7년(1102)

 

 

 

 

해동중보(海東重寶) / 고려 숙종 7~10년(1102~1105)

 

 

 

 

개원중보(開元通寶) / 중국, 당唐(618~907)

 

 

 

 

건원중보(乾元重寶) / 중국, 당唐, 건원乾元(756~762)

 

 

 

 

순화원보(淳化元寶) / 중국, 북송北宋, 수화 淳化  연간(990~994)

 

 

 

 

지화통보(至和通寶) / 중국, 북송北宋, 지화至和 연간(1054~1055)

 

 

 

 

조선통보 해서체 · 조선통보 팔분서체

 

 

 

 

십전통보(十錢通寶) / 조선 효종 2년(1651)

효종 2년(1651) 영의정 김육이 당시 수입 청전(淸錢)의 통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전을 주조하고자 건의함으로써 만들어졌다

크기는 대 · 중 · 소로 나뉘고 액면가는 십전(十錢)이다

초기에는 훈련도감에서 만들어졌으나 이후 영남 · 호남 · 호서 등 지방에서도 주조되었다

그러나 원료의 부족 · 일반인의 화폐에 대한 인식 부족 · 주조사업의 부진 등으로 효종 7년(1656) 유통이 중단되었다

 

 

 

 

무배자전(無背字錢)

 

 

 

 

단자전(單字錢) / 조선 숙종 4년(1678)

상평통보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으로 숙종 4년(1678)에 주조되었다

앞면에는 「상평통보(常平通寶)」라고 씌여 있고 뒷면에는 주전소의 약칭이나 부호표가 새겨져 있다

 

 

 

 

상평통보(常平通寶) 대형전(大型錢) · 중형중(中型錢) / 조선 숙종 4년(1678)~대한제국 융희 2년(1908)

조선 후기 상업의 발달과 대동법의 실시로 인해 원활한 유통수단의 출현이 주장됨에 따라

숙종 4년(1678) 정부의 주도 아래 동전을 만들어 전국적으로 유통시켰는데 이것이 바로 상평통보이다

발행 시기에 따라 단자전(單字錢) · 당이전(當二錢) · 중형전(中型錢) · 당오전(當五錢) · 당백전(當百錢)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시기적인 분류 이외에도 동전 뒷면에 새겨진 주전소의 약칭 · 천자문 · 오행의 글자 · 숫자 · 각종 부호 등에 따라서 구분되기도 한다

 

 

 

 

가경통보(嘉慶通寶) / 중국, 청淸 가경(嘉慶) 연간(1796~1820)

중국에서 들어온 화폐이다

 

 

 

 

도광통보(道光通寶) / 중국, 청淸 도광(道光) 연간(1821~1850) · 동치통보(同治通寶) / 중국, 청淸 도광(道光) 연간(1862~1874)

 

 

 

 

개항기 화폐

1876년 개항과 함께 근대적인 화폐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정부는 전환국을 설치하고

금과 은을 기준으로 화폐의 가치를 정하는 금 · 은분위제도를 도입하려 하였다

그러나 정부가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소재 가치가 낮은 당오전 등을 대거 발행하고

외국화폐까지 국내에 유통되면서 우리나라 화폐경제는 더욱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상평통보 당오전 시주화(常平通寶 當五錢 試鑄貨)

 

 

 

 

최초의 상설 조폐기관, 전환국 설립

1883년(고종 20) 원동(지금의 원서동)에 최초의 상설 조폐기관인 전환국이 설치되었고

1887년 선혜청 별창 자리로 건물을 옮기면서 경성전환국으로 불리게 되었다

경성전환국은 1888년 일원은화 · 십문동화 · 오문동화 3종의 신식주화를 발행하였으나 재정부족 등으로 주조 제조가 곧 중단되고 말았다

 

 

 

 

대동은전(大東銀錢) / 고종 19년(1882)

대동은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은화로 1882년 세 종류가 발행되었다

해외교역을 할 때 사용하기 위해 발행되었으며, 이전의 주화들과 달리 중앙에 구멍이 없다

 

 

 

 

당오전(當五錢) / 고종 20년(1883)

근대 화폐제조기관인 전환국에서 만들어졌다

그 가치는 상평통보의 5배이므로 당오전이라 하였지만 실질가치는 상평통보의 2배 정도였다

 

 

 

 

을유 일냥 주석 시주화(乙酉 一兩 朱錫 試鑄貨) / 고종 22년(1885)

1885년(조선 개국 494년)에서 발행한 최초의 근대 시주화로 을유년(乙酉年)에 제조되었다고 하여 을유시주화로 불린다

주석을 재료로 하여 은으로 도금하였는데 앞면에는 一兩(일량) 글자와

그 주위에 태극휘장과 오얏나무(자두나무 李花) 가지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쌍룡이 새겨져 있다

 

 

 

 

경성전환국 주화

경성전환국은 1888년 일원은화 · 십문동화 · 오문동화 3종의 신식주화를 발행하였으나

재정부족 등으로 주조 제조가 곧 중단되고 말았다

 

 

 

 

평양전(平壤錢) / 고종 27년(1890)

1890년 평양에 주전소를 설치하여 관찰사 민병석의 주관하에 주조된 상평통보로

크기도 작고 질도 좋지 않아 사람들에게 지탄을 받았다

 

 

 

 

인천전환국 주화

1892년 일본에서 수입하는 주화용 원료를 보다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해 전환국을 인천으로 이전하였다

 

 

 

 

호조태환권 원판(戶曹兌換券 原版) · 호조태환권

호조태환권은 인천전환국 태환서에서 상평통보(구 화폐)를 근대 주화(신 화폐)로 교환하여 엽전을 회수할 목적으로 제조하였다

호조태환권은 제조만 되었을 뿐 발행되지 못한 채 소각되고 말았으나 우리나라 근대 은행권의 원형이라는데 역사적 의미가 있다

 

 

 

 

용산전환국 주화

1900년, 인천전환국을 폐지하고 신식 화폐의 제조 업무를 시작한 화폐 주조 기관으로

인천전환국의 설비와 기계를 옮기어 설치하였다

 

 

 

 

러시아 루블은화

 

 

 

 

일본 1엔 은화

 

 

 

 

멕시코 은화

 

 

 

 

오량 은화(五兩 銀貨)

 

 

 

 

일원 은화(一圓 銀貨)

 

 

 

 

오푼 적동화(五分 赤銅貨)

 

 

 

 

이전오푼 백동화(二錢五分 白銅貨)

 

 

 

 

일량 은화(一兩 銀貨)

 

 

 

 

일량 동 시주화(一兩 銅 試鑄貨)

 

 

 

 

일푼 황동화(一分 黃銅貨)

 

 

 

 

대한제국 시대의 화폐

우리나라는 1901년에 금본위제도의 채택을 목적으로 「화폐조례」를 제정하고

1903년에는 「중앙은행조례」와 「태환금권조례」를 공포하는 등 근대적 화폐제도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나

외세의 압력과 준비부족으로 인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일본 제일은행권 · 일본 오사카조폐국 제조 주화 · 구 한국은행권

일본 제일은행권의 유통

1878년(고종 15) 부산에 지점을 연 일본 제일은행은 1902년에 대한제국의 허락없이 은행권을 발행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제일은행권 배척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일본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결국 유통을 막지 못하였다

 

 

 

 

우리나라의 주권을 빼앗은 일본은 1911년 3월 (구)한국은행을 조선은행으로 개편하였다

조선은행은 제2차세계대전 중 은행권을 마구 발행하여 일본의 전쟁 비용을 지원하였다

전쟁이 끝난 뒤에도 미군정의 법령에 따라 조선은행이 계속 중앙은행 역할을 맡게 되면서 조선은행권 유통은 광복 이후에도 한동안 지속되었다

 

 

 

 

조선은행권 금권 · 조선은행권 개권 · 조선은행권 갑권

 

 

 

 

최초의 금화 3종

대한제국 정부는 금본위제도를 채택하는 「광무 9년(1905) 화폐조례」를 공포하여

1906년에 20원 금화를, 1908년에는 5월 금화를 발행하였다

일본 오사카조폐국에서 발행한 이 금화들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행된 금화로서, 발행 수량이 적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회수되어 전쟁비용 등으로 쓰이면서 실제 유통된 수량은 매우 적었다

금화의 앞면에는 조선 왕실의 상징인 자두꽃을, 뒷면에는 왕의 상징인 용을 새겨 넣었다

 

 

 

 

광복 이후의 조선은행권

광복 후 미군정은 38선 이남에서 조선은행권을 계속 유통시키며 신권도 발행하였다

1945년 을(乙) 100원권을 시작으로 총 13종을 발행하였는데

1946년 7월 발행된 정(丁) 100원권부터는 일본어 문구를 삭제하고 오동나무 꽃 문양을 무궁화로 교체하는 등 일본의 잔재를 없애고자 하였다

 

 

 

 

광복 이후의 조선은행권 · 정부수립 이후의 조선은행권

조선은행권 을권 · 조선은행권 병권 · 조선은행권 무권 · 조선은행권 을권 · 조선은행권 신권

 

 

 

 

미발행 조선은행권 · 북한 불법발행 조선은행권 · 최초의 한국은행권

 

 

 

 

화폐단위의 변천

 

 

 

 

한국은행의 화폐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설립되어 화폐발행 업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중에 최초의 한국은행권을 발행하였으며 같은 해 화폐교환조치를 실시하여 조선은행권 유통을 금지하였다

그리고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해소하고자 화폐가치를 100분의 1로 낮추는 통화조치를 실시하여 환(圜)표시 은행권을 발행하였다

 

 

 

 

국내제조 환(阛)표시 은행권 · 국산조폐지 사용 환(圜)

 

 

 

 

제1차 통화조치 환 표시 은행권 발행

전쟁으로 인해 물가가 오르고 화폐의 가치가 떨어짐에 따라 물가안정이 중요해졌다

이에 정부는 1953년 2월 15일 통화조치를 단행하여 그때까지 사용하던 모든 화폐의 사용을 금지하고

화폐의 단위를 1/100로 변경한 (圜)(한글로는 원으로 인쇄되어 있음) 표시 한국은행권 5종을 발행하였다

이 은행권은 통화조치에 대비해 광복 직후 미국 재무부 인쇄국에서 만들어 금고에 보관해오던 것이었다

 

 

 

 

한국은행 최초 발행 주화

 

 

 

 

 

경제질서 확립과 은행권 도안 변경

1960년 4 · 19혁명 이후 한국은행은 경제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새로운 도안의 은행권을 발행하였다

그리고 1962년 6월 10일 정부는 통화조치를 단행하여 화폐단위를 환에서 원으로 변경하였다

1970년대에는 국내 경제의 발전으로 고액권이 발행되었으며 표준 영정을 화폐 도안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화폐의 호칭체계

기존의 화폐와 금액은 동일하나 도안과 크기만 다른 화폐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금액 앞에 발행된 순서에 따라 이름을 붙이게 된다

1962년의 통화조치 전에 발행한 화폐에는 원(原) · 신(新) · 개(改) · 개갑(改甲) 순으로 이름을 붙였으며

이후 발행된 화폐에는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순으로 이름을 붙이고 있다

 

 

 

 

개갑(改甲) 백환권

1962년 발행된 백환권에는 일반인이 도안의 모델로 등장하였다

어머니와 아들이 저금통장을 들고 있는 이 모습은 국민들에게 저축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제2차 통화조치

정부는 경제개발5개년개획을 추진하면서 1962년 6월 10일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하였다

이 조치로 인해 그 때까지 사용하던 (圜) 표시 화폐의 사용이 금지되고 화폐의 금액을 1/10로 낮춘 원 표시 화폐가 발행되었다

이때 등장한 한글 화폐단위인 원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새로운 주화의 발행

 

 

 

 

대통령 서명 시쇄은행권 · 미발행 만원권

1972년 한국은행은 석굴암 본존불과 불국사 전경을 도안으로 한

만원권을 발행하기로 결정하고 유통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종교계의 반발로 발행을 취소하였다

 

 

 

 

1960년대 발행 주화

 

 

 

 

1970년대 발행된 한국은행권

 

 

 

 

화폐체계의 정비

1983년에는 거래의 편의와 제보비용 절감 등을 위해 은행권의 크기가 축소되고 도안이 크게 바뀐 새로운 은행권이 발행되었다

이때 발행된 신권에는 숨은 그림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등이 삽입되었고 은행권 용지의 품질도 향상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은행권의 위 · 변조 장치가 크게 강화되었으며

2006년부터 2009년 사이에는 크기가 축소되고 현대화된 디자인의 은행권이 새로 발행되었다

 

 

 

 

위저방지요소의 강화

1990년대 이후 컬러복사기 · 스캐너 등이 널리 사용되면서 화폐 위조가 크게 늘어났다

한국은행은 이를 막기 위해 새로운 시리즈의 은행권을 발행할 때마다 위조방지요소를 강화하였다

특히 50,000권은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위조방지 기술이 적용된 화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새 10원화 발행

한국은행은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 재질을 황동에서 겉면에 구리를 씌운 알루미늄으로 바꾸고

크기를 3/5 수준으로 줄인 라 10원화를 발행하였다

 

 

 

 

오만원권 발행

경제성장에 따른 거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고액권인 오만원권이 발행되었다

오만원권에는 우리나라 화폐 최초로 여성 위인이 등장하였으며 띠형 홀로그램 등 최첨단 위조방지장치가 적용되었다

 

 

 

 

대한민국의 현용화폐

2009년 오만원권이 새로 발행되면서 현재의 액면체제가 완성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현용화폐는 은행권 4종 · 주화 6종이다

 

 

 

 

북한의 화폐

북한은 1946년 조선중앙은행을 설립하여 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광복 이후 조선은행권과 소련군 사령부가 발행한 군표가 화폐로 사용되었고

1947년 화폐개혁이 이루어진 후 네 차례의 화폐교환이 실시되면서 현재의 액면체계를 갖추었다

현행 화폐단위는 원과 전이며 10원은 100전으로 환산된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화폐는 2009년 11월 4차 화폐교환에 따라 발행된 것이다

 

 

 

 

1947년 화폐개혁

 

 

 

 

1959 제1차 화폐교환

 

 

 

 

외화로 바꾼 동표

외국인이 사용하는 특수화폐로 사회주의 국가와 비 사회주의 국가 대상 교환화폐가 구분되어 발행되었다

1979년 조선중앙은행이 발행하기 시작하여 1988년부터는 조선무역은행이 발행하다가 2002년에 폐지하였다

 

 

 

 

전폐(箭幣) / 조선

조선시대에 세조의 명령에 따라 주조된 화살촉 모양의 화폐로 팔방통화(八方通貨)라고도 한다

비상시에는 화살촉으로도 쓸 수 있도록 하였는데, 현재까지 실물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동국사략(東國史略) / 조선

단군에서 삼국시대 말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강목체 역사서로 「삼국사략」이라고도 한다

1402년 태종의 명에 따라 권근 · 하륜 · 이첨 등이 편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최초의 화폐인 고조선의 자모전에 대한 사용 기록이 나온다

 

 

 

 

휘고(彙考) / 조선

고종 2년(1865) 목판본으로 간행한 역서(曆書)인 〈대청동치사년세차을축시헌서( 大淸同治四年歲次乙丑時憲書)〉를 바탕 종이로 하여

각 장에 금전의 대여와 차용 등에 관한 수십점의 어음 · 수표 등을 분실되지 않도록 풀로 붙여 놓은 일종의 문서첩이다

그 가운데 특히 어음은 오늘날 그 실물이 거의 전하지 않는다

 

 

 

 

개인어음 / 조선

상인들은 원거리 거래에 따른 화폐운반 · 계산 · 보관의 불편을 덜기 위해 어음을 사용하였다

특별한 형식없이 발행인과 금액만 표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기념주화

일반적으로 기념주화는 국가적인 행사를 치르거나 역사적으로 기릴만한 인물이나 문화유산 등을 국민과 함께할 목적으로 발행한다

국가적인 행사를 개최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기도 하는데 올림픽 기념주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기념주화는 1971년 3월 2일 발행된 「대한민국 반만년 역사 기념주화」로서 해외에서 제조되고 발행하였다

국내 기술로 우리나라에서 발행한 최초의 기념주화는 1975년 8월 14일 발행된 「광복 30주년 기념주화」이다

 

 

 

 

제17회 한국 · 일본 월드컵 /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 2015 경북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제10회 서울 아시아경기대회 / 제14회 부산 아시아경기대회 / 제17회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아시아 · 유럽 정상회의 / 서울 G20 정상회의 / 아시아 · 태평양 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세계자연보전총회 /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 세계물포럼

 

 

 

 

광복 50주년 / 광복 60주년 / 광복 70주년

정부 수립 50주년 / 대한민국 건국 60년 / 한국은행 창립 50주년 / 새천년

 

 

 

 

대한민국 반만년 역사

 

 

 

 

대전세계박람회 / 여수세계박람회

 

 

 

 

한국의 문화유산

 

 

 

 

한국의 국립공원

 

 

 

 

전통민속놀이 / 유네스코 세계유산

 

 

 

 

부조전(浮彫錢) · 투조전(透彫錢)

 

 

 

 

오행정(五行錢) · 상평전(常平錢) · 도화전(圖畵錢) · 전형전(錢形錢)

 

 

 

 

부채전 · 주머니전 · 칠보금전 · 실패전 · 방승전 ·호로병전 · 춘화전 · 쌍동자전

 

 

 

 

동물 · 식물전

 

 

 

 

열쇄패 / 조선

열쇄패는 일명 별전패(別錢牌) · 개금패(開金牌)라고 하는데 개금은 열쇄라는 의미이다

열쇠패는 패용별전보다 훨씬 크고, 디자인도 뛰어난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하고 희귀한 별전이다

양가의 규수가 시집갈 때 친정집 어머니가 딸의 혼수상자에 넣어 주었다

시집간 규수는 열쇠패를 신방의 가구 등에 장식용으로 걸어 집안의 오복이 들어오기를 기원했다

 

 

 

 

돈의 어원

돈의 어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설이 전해지고 있다

첫째, 화폐의 순환에서 유래되었다

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며 천하를 돌고 돈다는 데서 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로 민간 어원일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한자 刀(도)에서 유래되었다

고대에 사용되었던 칼 모양의 화폐를 일컫는 「도화(刀貨)」의 刀(도)에서 유래되어

도와 돈이 혼용되다가 세월이 흐르면서 돈으로 고착되었다는 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