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온릉

온릉(溫陵 사적 제210호)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1557)는 익창부원군 신수근의 딸로 1499년(연산군 5), 12세 때 성종의 차남인

당시 진성대군이던 중종과 혼인하여 부부인(府夫人)이 되었고, 1506년 반정으로 남편 중종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단경왕후가 왕비가 되자 곧바로 반정 공신들이 벌떼같이 일어났다

왕비의 아버지 신수근이 매부인 연산군 편에서 중종반정을 반대하였다는 이유였다

결국 중종은 종사가 중하니 사사로운 정을 생각할 수 없다며 왕비를 책봉 7일 만에 폐출하라는 명을 내린다

1515년(중종 10) 중종의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단경왕후를 왕비로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단경왕후는 폐비의 신분으로 71세로 세상을 떠나 친정인 거창 신씨의 묘역인 지금의 자리에 묻혔다

182년이 지난 1739년(영조 15)에 단경왕후로 복위되고 묘를 능으로 올려 그 이름을 온릉(溫陵)이라 하였다

온릉은 추존된 왕비의 능이기 때문에 병풍석과 난간석 · 무인석을 생략한 간소한 모습을 하고 있다

 

 

온릉(溫陵) 매표소

온릉은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첫 번째 부인이었던 단경왕후 신씨(1487~1557)의 능이다

단경왕후는 신수근의 딸로 1506년 성희안 · 박원종 등이 일으킨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곧바로 왕비로 책봉되었다

박원종은 연산군의 신임이 두터워 도부승지 · 좌부승지 · 경기관찰사 등을 거치며 국가의 재정을 주로 맡았다

그러나 연산군이 월산대군(성종의 형)의 부인인 자신의 누이를 궁으로 불러들여 불륜을 저질렀다는 소문이 들리자 쿠데타를 일으켰다

 

 

 

 

조선왕릉 세계유산 빗돌

조선왕릉은 519년 동안 27대에 걸쳐 조선을 통치한 왕과 비의 무덤이다

2009년 6월, 조선 왕릉 42기 중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 능) · 후릉(정종 · 정인왕후 능)을 제외한

40기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00년 이상 이어진 한 왕조의 왕릉들이 거의 훼손없이 온전히 남아 있는 사례는 세계적으로 조선왕릉이 유일하다

 

 

 

 

양주 온릉 종합안내도

 

 

 

 

온릉 · 재실로 들어가는 길이다

 

 

 

 

온릉 숲길 들머리

온릉 숲길은 길이 450m · 소요시간 15분의 길이다

 

 

 

 

재실(齋室)

왕릉 관리자가 지내는 업무 공간이자 제향을 준비하는 곳이다

 

 

 

 

재실(齋室) 대청

조선왕릉 세계유산 인증서가 걸려 있다

 

 

 

 

벤치 쉼터

이곳에서 이동식을 했다

 

 

 

 

정자각 · 비각

이동식을 하며 봤다

 

 

 

 

홍살문

정자각으로 이어지는 향로(香路) · 어로(御路)가 밑에 있다

 

 

 

 

판위(版位)

헌관이 제례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곳으로 이곳에서 절을 4배 한다

배위(拜位)라고도 한다

 

 

 

 

온릉 안내판 · 상설도 해설

홍살문 옆에 있다

 

 

 

 

온릉

정자각 · 비각이 앞에 있다

 

 

 

 

온릉

추존된 왕비의 능이기 때문에 병풍석과 난간석 · 무인석이 생략된 간소한 모습이다

 

 

 

 

정자각(丁字閣)

정자각은 왕릉에서 제향을 지내는 건물로 침전이라고도 한다

정자각은 제향 음식을 차려 놓는 정전과 제례를 올리는 배위청이 합쳐져 있는데 건물 위에서 내려다본 모양이 丁(정) 자와 같아 정자각이라 불렀다

왕릉에는 왕과 왕비를 함께 모신 경우에도 정자각은 하나를 세우고 제향을 함께 지냈다

대한제국 때는 침전 안에 집 모양 장식인 당가를 설치하면서 건물의 규모를 늘려, 건물 모양이 '一(일)'자형으로 바뀌었다

 

 

 

 

수복방 터(守僕房址)

수복방은 능에서 화재나 부정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지키는 수복이 근무하는 곳이다

 

 

 

 

물길

수복방 터 뒷편이다

 

 

 

 

정자각(丁字閣)

 

 

 

 

비각(碑閣)

왕릉에 모신 왕과 왕비의 생애와 업적을 적은 비석인 신도비나 표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보통은 정면 1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비석 수가 늘어나면 칸 수를 늘려 짓기도 했다

*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표석이 있다

 

 

 

 

온릉 표석

조선국 단경왕후 온릉(朝鮮國 端敬王后 溫陵)

*

단경왕후가 복위된 후 1807년(순조 7)에 세운 표석이다

 

 

 

 

온릉 표석 후면

恭昭順烈端敬王后愼氏 中宗大王元妃 成化二十三年丁未正月十四日誕生  正德元年丙寅正位中壼未幾遜于私第

(공소순열단경왕후신씨 중종대왕원비 성화이십삼년정미정월십사일탄생 정덕원년병인정위중곤미기손우사제)

嘉靖三十六年丁巳十二月七日昇遐 葬于楊州西山長興面水回洞

(가정삼십육년정사십이월칠일승하 장우양주서산장흥면수회동)

亥坐之原 壽七十一 英宗己未復位上諡

(해좌지원 수칠십일 영종기미복위상시)

崇禎紀元後一百八十年丁卯四月 日 立

(숭정기원후백팔십년정묘사월 일 립)

*

공소순열 단경왕후 신 씨는 중종대왕의 원비이다

성화 23년(정미년 1487) 1월 14일에 탄생하여, 정덕 원년(병인년 1506)에 중곤(왕비)의 자리에 올랐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제로 나갔다

가정 36년(정사년 1557) 12월 7일에 승하하여 양주 서산 장흥면 수회동 해좌(북북서) 언덕에 장사지냈다

나이는 71세이다. 영종(영조) 기미년(1739)에 복위하여 시호를 올렸다

승정 기원 후 180년(정묘년 1807) 4월에 세우다

 

 

 

 

온릉 비문 안내판

 

 

 

 

산신석(山神石)

능이 위치한 곳의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자리이다

 

 

 

 

제상(祭床) · 축상(祝床) · 향상(香床)

제사 때 제물을 차려 놓는 상 / 제향 때 축문을 올려 놓는 상 / 제향 때 향료나 향합을 올려 놓는 상이다

 

 

 

 

예감(叡感)

제향을 지낼 때 사용한 축문을 태우는 곳이다

 

 

 

 

신교(神橋) · 신로(神路)

정자각 뒤에서 능상으로 향하는 왕의 혼을 위한 길이다

 

 

 

 

정자각 · 홍살문

 

 

 

 

신계(神階) · 어계(御階)

월대(月臺)는 궁궐의 정전 · 향교와 같은 주요 건물 앞에 설치하는 기단이다

 

 

 

 

진설도(陣說圖) · 기신제(忌晨祭)

왕릉제향은 역대 제왕과 왕후에 대한 기신제향 의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조선시대의 규정인 오례의(五禮儀) 중 길례(吉禮)에 해당한다

정자각 정전 앞이다

 

 

 

 

수복방 터(守僕房址)

정자각 · 비각이 사이에 있다

 

 

 

 

수복방 터(守僕房址)

 

 

 

 

온릉 입장시간

 

 

 

 

온릉 해설 시간 안내판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영화사  (0) 2023.08.02
장흥면누리길  (0) 2023.07.29
화개정원  (1) 2023.07.28
교동도 유배문화관  (0) 2023.07.28
경서동 녹청자박물관~류사눌 묘  (0) 2023.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