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산향교(稷山鄕校 · 충청남도 기념물 제109호)는 유학을 가르치던 조선시대 관립 교육기관이다
1413년(태종 13)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최초의 위치는 이곳에서 서쪽으로 200m 떨어져 있는 구 향교골이며 숙종 대에 이르러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직산향교는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동 · 서재를 두고, 뒤쪽에 제례 공간인 대성전을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로 이루어져 있다
명륜당에는 직산향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귀중한 기문 현판과 조선시대 직산 선비의 향촌 활동을 알리는 다양한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있으며
봄 · 가을에 공자에게 제례를 올리는 춘추석전제례와 다양한 유림 활동이 이루어지는 직산 유교 문화의 거점이자 상징적인 공간이다
직산향교 홍살문
성균관 및 직산향교 연혁비
홍살문 옆에 있다
직산향교 외삼문(外三門)
솟을대문으로 문마다 태극이 그려져 있다
명륜당(明倫堂)
직산향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문 현판과 조선시대 직산 선비의 향촌 활동을 알리는 다양한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있다
1413년에 세운 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다시 세웠으며 그 후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정면 5칸 · 측면 2칸의 명륜당 얖편에 협문이 있다
명륜당(明倫堂) 신안 주희 서(新安朱熹 書) 현판
주희(朱熹 · 1130~1200)는 성리학을 집대성하고 체계화하여 주자학을 완성시켰다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 주부자(朱夫子) · 주문공(朱文公) ·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다
*
주자(朱子)의 글씨를 집자(集字)한 것으로 보인다
동재(東齋)
오른쪽에 부엌 · 왼쪽에 마루가 있다
서재(西齋)
유생들이 공부하며 숙소로 사용하던 곳이다
수신위본(修身爲本)
몸과 마음을 착하고 바르게 닦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서재에 걸려 있는 편액이다
내삼문(內三門)
평열문(平列門)에 삼태극이 그려져 있고 계단 양편에는 삼강지목(三綱之木) · 오륜지목(五倫之木)이 있다
*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삼강지목(三綱之木) 빗돌
부의자강(夫爲婦綱) · 군위신강(君爲臣綱) · 부위부강(父爲子綱)
오륜지목(五倫之木) 빗돌
부자유친(父子有親) · 군신유의(君臣有義) · 부부유별(夫婦有別) · 장유유서(長幼有序) · 붕우유신(朋友有信)
대성전(大成殿)
공자를 비롯한 5성(五聖) · 송조2현(宋朝二賢) ·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
내삼문과 전사청이 보인다
대성전(大成殿)
건물 규모는 정면 5칸 · 측면 3칸 규모로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서적 · 노비를 지급 받아 5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지금은 봄 · 가을 제사만 지내고 있다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 · 서무(西廡)가 없고 위패는 모두 대성전에 모셨다
대성전(大成殿) 현판
전사청(典祀廳)
석전 때에 희생(犧牲)을 준비하던 곳이다
전사청(典祀廳) 편액
명륜당(明倫堂) · 서재(西齋)
내삼문(內三門)
명륜당(明倫堂)
외삼문(外三門)
옆문
온조왕사당으로 통하는 문이다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 직산읍 (0) | 2023.01.02 |
---|---|
민익현 가옥 (0) | 2023.01.01 |
온조왕사당 (0) | 2023.01.01 |
청계천박물관 (0) | 2022.12.24 |
청계천박물관 기획전시실 서울책방 (1)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