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대전 회덕의 돌장승과 별당

대전은 천 년의 선비문화가 면면히 전해오는 역사문화의 고장이다

고려 태조 때부터 쓰인 고을 이름 회덕(懷德)은 덕을 품었다는 뜻으로 지금은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속한다

「대덕」이란 지명은 일제강점기 대전과 회덕에서 한 글자씩 따와 만든 것이다

*

1박 2일로 대전을 찾은 첫날, 당아래장승을 시점으로 동춘당을 거쳐 비래골 옥류각까지 걸었다

 

 

당아래 버스정류장

시점이다

 

 

 

 

당아래장승

당아래 마을의 주택가에 있었던 것을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장승을 세운 연대는 알 수 없으며, 다만 옛날부터 마을에 질병이 잦아 이를 막기 위해 세운 것이라 한다

장승은 자연석 그대로의 선돌인데 중간 부분이 꼬부라지고 머리 부분이 뭉뚝하게 생긴 것이 얼굴 또는 남성의 성기를 닮았다

장승의 크기는 높이 76cm · 몸통 둘레 86cm · 목 둘레 63cm · 윗부분 둘레 74cm이며 돌의 재질은 화강 편마암 또는 석회암이다

당아래에서는 공동으로 장승을 위하고 있으며 매년 정월 열사흗날 저녁에 거리제를 지낸다

 

 

 

 

당아래장승

천원 지폐가 새끼줄에 끼어 있다

 

 

 

 

대덕문화원

조선시대에 지금의 대덕구는 동구 일원 및 유성구의 일부 지역과 함께 회덕현으로 편재되어 있었고 대덕구 읍내동은 당시 회덕현의 행정중심지였다

읍내동은 동쪽으로는 계족산 · 서쪽은 갑천 · 남쪽은 법동과 대화동 · 북쪽은 신대동 · 연축동과 인접해 있는 동(洞)이다

읍내동은 계족산 서쪽 끝과 당산 동쪽 사이의 잘 발달된 평지에 들과 회덕현의 관아와 부속시설이 있던 곳이라서

마을 이름도 회덕현의 소재지라는 뜻으로 읍내(邑內)라 하였다

회덕현 관내의 지방행정을 수행하던 회덕 관아터는 현재 회덕동주민센터 옆에 일부 터가 남아 있으며

회덕읍지(懷德邑誌)에는 회덕현 관아를 동헌 · 객사 · 침벽당 · 응향정 · 창고 · 무기고 등 79칸에 이르는 규모의 관아로 기록하고 있다

회덕동행정복지센터는 회덕현의 무관들이 집무하던 장청(將廳) 터였으며

회덕초등학교는 회덕현의 환곡(還穀)을 보관하던 사창(社倉)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또한 조선시대 지방의 관립학교였던 회덕향교는 관아터로부터 북쪽 방향으로 1리 남짓한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회덕초등학교

회덕현의 환곡(還穀)을 보관하던 사창(社倉)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조합장 근재송공인화공적비(組合長謹齋宋公寅和功績碑)

회덕농협 뒷마당에 있다

 

 

 

 

양자강 · 화성철물점

어사 홍원모 영세불망비각으로 가는 골목이다

 

 

 

 

어사 홍원모 영세불망비각(御史洪遠謀永世不忘碑閣)

암행어사 홍원모(洪遠謨 · 1784~1835)가 1829년(순조 29) 회덕지방의 민정을 살필 때

이곳 사람들이 가난과 질병에 허덕이자 구휼책을 마련해서 구제해 주었다

이런 까닭에 고을에서는 그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1831년 비석을 세우고, 1847년 비각을 세웠다

비각은 정면 1칸 · 측면 1칸으로 8각의 긴 주춧돌 위에 짧은 둥근 기둥을 세웠으며,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어사 홍원모 영세불망비(御史洪遠謀永世不忘碑)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7호

 

 

 

 

회덕동 행정복지센터

회덕현 관내의 지방행정을 수행하던 회덕 관아터는 현재 회덕동 주민센터 옆에 일부 터가 남아 있으며

회덕읍지(懷德邑誌)에는 회덕현 관아를 동헌 · 객사 · 침벽당 · 응향정 · 창고 · 무기고 등 79칸에 이르는 규모의 관아로 기록하고 있다

회덕동행정복지센터는 회덕현의 무관들이 집무하던 장청(將廳) 터였

 

 

 

 

회덕유래비(懷德由來碑)

회덕은 예로부터 덕을 품고 사는 학문과 충효의 고장으로

일찍이 북벌(北伐)의 웅지(雄志)를 폈던 성리학 대유(大儒) 동춘당 송준길 · 우암 송시열  두 선생이 조선팔도에서 운집하는 문도들에게

도학문(道學問)과 충효(忠孝) 강론(講論)을 폈던 처소(處所)가 바로 이 터전으로

역대 명신(名臣) · 석학(碩學) · 효자(孝子) · 효열부(孝烈婦)가 면면히 이어온 세수(世守) 청덕(淸德) 선비의 고장이다

 

 

 

 

회덕현 관아터 · 회덕현감 공적비 안내판

관찰사 심의신 영세불망비 · 현감 류지화 영세불망비 · 현감 조이숙 불망비 · 현감 조정강 영세불망비 · 현감 최중정 영세불망비 · 현감 송국우 청덕선정비

현감 이상요 애민선정비 · 현감 정석범 애민선정비 · 행 현감 이득영 유애비 · 현감 김헌순 영세불망비 · 현감 류승비 영세불망비 · 현감 이승린 영세불망비

군수 조동준 영세불망비 · 은진 송석진 영세불망비 · 풍천 임재경 영세불망비 등 15기의 빗돌이 옆에 있다

 

 

 

 

회덕현감 조이숙 불망비

조이숙(趙爾䎘 · 1616~1660)은 양주 조씨이고, 온양출신으로 현종 즉위년(1659) 정읍현감을 거쳐 회덕현감이 되었다

그는 아버지의 벙환이 심해지자 북극성을 향하여 자신이 대신 죽기를 간절히 비는 효심을 보였다

그리고 인조가 죽었을 때에는 나물죽으로 3년을 보냈고, 또 효종의 죽음에서도 다시 나물죽으로 지내며 슬퍼한 충효의 인물이었다

1659년 그가 회덕현감이 되었을 때, 마침 큰 흉년이 들어 끼니를 잇지 못하고 식량을 구걸하는 사람들이 관아에 가득찼다

그는 자신의 녹봉을 내어서 그들을 구휼하였고, 정작 자신은 헤어진 홑옷을 입고 공무를 수행하다가 추위가 극심했던 1660년 10월 23일 순직하였다

그때 그의 나이 45세에 불과했다

1665년 민정중이 상소하여 그에게 정려가 내려졌고, 회덕의 현민들은 조이숙 현감의 헌신적인 애민정신을 귀하게 여겨 불망비를 세웠다

또한 송시열이 짓고 송준길이 글을 쓴 거사비명(去思碑銘)에서는 아래와 같이 그를 칭송하였다

*

淸操氷懸(청조빙현) / 맑은지조는 얼음을 닮은듯하고

惠政春流(혜정춘류) / 은혜로운 정은 봄 흐르는듯하도다

方喪至行(방상지행) / 방금 잃어버린 지극한 행실이여!

前史罕儔(전사한주) / 전사에 드문 일이었네

昔公來床(석공래상) / 옛적에 공이 와서 의지하면서

稚耋歡謳(치질환구) / 아이나 늙은이가 기쁘게 노래하더니

今以樞歸(금이추귀) / 지금은 널로 돌아가시니

攀號莫留(반호막유) / 울부짖어 붙든들 만류할수 없구나

何以寄哀(하이기애) / 슬픔을 어디에다 의탁할까?

碑于道周(비우도주) / 비석은 길가에 있네

 

 

 

 

뒷골장승

천하대장군은 높이 1.5m 정도의 사각형 돌기둥에 머리는 뾰족하게 처리하여 고깔모자를 쓴 듯한 모습이고

눈과 코는 양각으로 표현했고, 입은 웃는 모습을 음각으로 표현했으며, 몸 전체는 천하대장군으로 음각으로 표현했다

지하대장군은 천하대장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인데 대체로 머리 부분부터 가슴 부위까지 표현되어 있다

남녀 장승 모두 무서운 얼굴 표정은 찾아 볼 수 없고 수줍은 듯 웃는 표정을 하고 있다

장승제 때 고운 황토를 물에 풀어서 장승에 빗자루로 칠하는데 이것을 '옷을 입힌다'라고 표현한다

 

 

 

 

당산(137.4m)

신회덕아파트 · 회덕아파트가 품에 있다

 

 

 

 

덕을 품은 굴다리 이야기거리(첫 번째 굴다리)

이곳에는 1910년 이전부터 생성된 전국에서 유일하게 7개의 철도 굴다리가 모여 있다

약 500여 미터의 구간에 6개의 근현대 문화 주제로 만화 기법을 적용하여 구성한 추억의 회덕이네 가족 거리다

 

 

 

 

근현대 도시 · 교통(두 번째 굴다리)

근현대 도시의 생활상과 교통문화를 주제로 담은 굴다리다

정겨웠던 시설 점방 모습의 벽화와 역사적 의미가 담겨 있는 미카129 기차 모형의 포토존이 있다

 

 

 

 

근현대 교육(세 번째 굴다리)

근현대 교육문화를 상징하는 교실에서 볼 수 있는 소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시절처럼 칠판에 낙서도 하고 학창시절을 회상하며 재미있는 컷 만화도 읽을 수 있다

 

 

 

 

근현대 교육(네 번째 굴다리)

대전에 남아 있는 1900년대 이후 건축물인 구 목동성당(1921) · 대흥동 뾰족집(1929) · 구 충남도청(1932) 등이 미니어쳐 조형물로 설치되어 있다

 

 

 

 

근현대 건축(네 번째 굴다리)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고즈넉한 옛길 정취를 느낄 수 있다

 

 

 

 

근현대 놀이(다섯 번째 굴다리)

말뚝박기 · 고무줄놀이 · 사방치기 · 숨박꼭질등 그 때 그 시절의 놀이와 기차길옆 악보가 있다

 

 

 

 

근현대 놀이(여섯 번째 굴다리)

회덕현(懷德縣)의 편액이 걸려 있다

 

 

 

 

여섯 번째 굴다리

 

 

 

근현대 풍경(일곱 번째 굴다리)

따뜻한 보리밥을 짓는 가마솥 풍경 벽화가 있는 약 30m 아치형 석조 굴다리로 일제강점기에 만든 것이다

 

 

 

 

근현대 풍경(일곱번째 굴다리)

회덕이와 명이가 안녕, 다음에 또 놀라와 하고 반갑게 인사를 한다

 

 

 

 

뒷골방앗간 간판

간판만 남았다

 

 

 

 

제월당 · 옥오재(霽月堂 · 玉吾齋)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제월당은 송규렴(宋奎濂 · 1630~1709)이 1676년(숙종 2)에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 별당이다

제월(霽月 · 비 개인 다음의 맑은 달)은 선조인 쌍청당 송유(雙淸堂 宋儒)의 쌍청(雙淸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의

맑은 기품을 닮고자 하는 뜻이 담긴 말이다

*

뒷골방앗간을 지나 계족로 육교에서 봤다

 

 

 

 

제월당 · 옥오재(霽月堂 · 玉吾齋)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후곡공원 빗돌이 있다

읍내 뒷 골짜기에 마을이 있어서 뒷골마을 또는 뒷골이라 부르며 또 후곡이라 한다

 

 

 

 

제월당 · 옥오재(霽月堂 · 玉吾齋)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제월당(왼쪽 앞) · 옥오재(왼쪽 뒤) · 장서각(藏書閣 · 오른쪽)이 있다

 

 

 

 

옥오재(玉吾齋)

조선 숙종 때 예조판서를 지낸 제월당 송규렴의 의 장남이요

당대의 문장가인 송상기(宋相琦 · 1657~1723)가 자신의 호를 따서 옥오재란 편액을 걸어 놓았다

옥오(玉吾)란 '깨어지더라도 나(吾)는 옥(玉)을 택하겠다'라는 뜻이며 여기에는 충성스러운 말과 옳은 뜻을 지키겠다는 굳은 의지가 담겨 있다

그는 대사성 · 충청감사 등을 역임하였고, 대제학 · 대사헌 · 이조판서를 거쳐 판돈령부사에 이르렀으나

당쟁에 휩쓸려 신임사화로 강진에 유배되었다가 다음 해에 사망하였다

저서로 「옥오재집」이 있다

*

제월당 바로 뒤편에 ㄷ자 형 평면에 안채와 사랑채를 겸한 건물이다

 

 

 

 

덕을 품은 회덕(會德) 길(여덟 번째 굴다리)

 

 

 

 

대전 읍내동 느티나무 보호수

나무 높이 16m · 둘레 4.5m · 나이 380년 · 지정일자 1982. 5

 

 

 

 

임천(林泉)

대덕구 읍내동에 소재한 우물로 조선 후기의 숨은 학자 임천의 맑고 깨끗함을 기리기 위해 돌에 새겼다는 전설이 있다

임천이란 수풀 속의 샘이란 뜻으로 숨은 선비가 있는 곳이라는 의미도 있다

*

왼쪽 바위에 임천 각자(林泉 刻字)가 있다

 

 

 

 

임천 각자(林泉 刻字)

 

 

 

 

어울림광장

경부고속도로와 계족로 사이에 있는 숲길이다

 

 

 

 

선비마을4단지 앞쪽이다

 

 

 

 

남양홍씨(南陽洪氏) 집터 안내판

조선 중기 손우당 홍석(洪錫)이 왕세자 시위(侍衛)를 맡은 공로로 현 집터(1천평 · 99칸 대가)를 하사 받았다 전해진다

안내판 뒷편으로 담장으로 쓰였던 돌들이 쌓여 있다

*

홍우당 홍석(1604~1680)은 태백오현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당시 굴욕적인 패전과 불의의 정국에 항거하며

선비의 곧은 은둔의 성향에 따라 유향(儒鄕)이라는 봉화지방에 낙향하여

오직 국가의 존망과 장래를 걱정하는 우국충정의 일념으로 한 세상을 살가 간 인물이다

 

 

 

 

법동 석장승 남자 장승 / 대전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수백년 전 재앙과 질병으로부터 마을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법동 법천골을 가로지르는 하천 양쪽에 세워졌다

처음에는 나무로 장승을 만들어 제사를 지내오다가 18세기 초에 돌장승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남자 장승은 검정색 선돌과 함께 있으며 몸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이라 쓰여 있다

거친 자연석에 눈 · 코 · 입 등을 다듬어 표현한 남 · 여 한 쌍의 돌장승으로 높이는 각각 153cm · 126cm이다

각진 얼굴 형태를 가진 남장승은 강인함이 엿보이고 굳게 다문 입은 무언가를 다짐하는 듯하다

작은 입과 턱선을 둥글게 처리하여 순한 인상을 주는 여장승은 남장승과는 달리 귀를 만들어 사실적인 느낌을 준다

둘 다 머리 위에 모자 모양의 돌을 새겼다

 

 

 

 

법동 석장승 여자 장승 / 대전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여자 장승은 끝이 뾰족하고 밑이 펑퍼짐한 선돌과 함께 도로 건너편에서 남자 장승을 마주보고 있으며

몸에는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이라고 새겨져 있다

옆에 있는 선돌은 남성과 여성을 상징한다고도 하고 두 장승을 도와주는 조수 또는 아기 장승이라고도 한다

 

 

 

 

북문 법동전통시장

이곳 옆 식당에서 식사를 했다

 

 

 

 

은진송씨정려각(恩津宋氏旌閭閣)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

송씨부인(1575~1659)은 송담 송남수(松潭 宋枏壽)의 딸로, 시집간지 불과 몇 달만에 남편이 죽은 후

친정 부모에 의지하여 아들인 김경여(金慶餘 · 1596~1653)를 훌륭하게 키웠다

또한 송씨부인은 효성이 매우 지극하여 친정 아버지가 노환으로 생명이 위급할 때

손가락을 베어 피를 마시게 하고, 손가락 뼈를 가루내어 먹임으로써 소생케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일들이 조정에 알려지게 되어 영조 때 정려(旌閭)되었다

 

 

 

 

은진송씨정려각(恩津宋氏旌閭閣)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

 

 

 

 

송애당(松崖堂) / 유형문화재 제8호

조선 효종 때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송애당 김경여(松崖堂 金慶餘 · 1597~1653)가  병자호란 후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1640년(인조 18)에 지은 별장이다

송애(松崖)는 '눈서리를 맞아도 변치 않는 소나무(松)의 굳은 절개와 우뚝 선 언덕(崖)의 굳센 기상을 마음에 간직하겠다'는 뜻으로

선생의 높은 기개와 충성심을 마음에 담고자 건물 이름으로 삼은 것이다

 

 

 

 

송애당(松崖堂) / 유형문화재 제8호

건물의 크기는 앞면 3칸 · 옆면 2칸에 팔작지붕을 올렸으며, 이곳에서 당시의 유명한 학자들과 함께 학문을 닦았다

인근의 동춘당 · 쌍청당 · 제월당 등과 함께 이 고장 별당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중리동 법천석총 암각(法泉石潨 巖刻)

송애당 앞 법천 물길에 있던 바위를 옮겨다 놓았다. 송준길의 글씨다

 

 

 

 

절우당터(節友堂址) 빗돌

공세협이 이곳 인근에 처음 세운 후, 쌍청당 송유의 5대 손 송남수(1537~1626)가 1564년(명종 19)에 고쳐지으며 절우당이라 이름지었다

이는 주변에 매 · 송 · 죽 · 국을 심고 계절마다 그 절개를 벗삼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절우당 내에는 이화정 · 상추정 등 정자도 있었다

 

 

 

 

수제문(修齊門)

은진송씨대종가(恩津宋氏大宗家) 삼문이다

 

 

 

 

수제문(修齊門) 현판 · 상량문(上樑文)

 

 

 

 

쌍청당(雙淸堂)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 원일당(原一堂)

조선 전기의 학자인 쌍청당 송유(宋愉 · 1389-1446)가 지은 별당이다

건물 이름은 선생의 호인 쌍청(雙淸)을 따다 붙였는데 청풍과 명월의 맑은 기상을 마음에 담고자 한 것이라고 한다

세종 14년(1432년)에 지은 뒤로도 여러 차례 고쳐 지었지만 원래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

문이 닫혀 있어 쌍청당(雙淸堂) 사진은 못 만들었다

 

 

 

 

쌍청당(雙淸堂)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 봉무정(鳳舞亭)

송유는 태종이 즉위하면서 새어머니 신덕왕후 강씨를 태조 묘에 모시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쌍청당은 대전 지역에 현존하는 별당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다른 주택 건물과는 달리 단청이 되어 있다

당시 단청의 원료는 중국에서 수입했기 때문에 비쌌다

사치를 보다 못한 세종은 민가에 단청을 금지시켰고, 이후 「경국대전」에서 법으로 정해졌다

쌍청당은 이 법이 정해지기 전에 세운 건물로 지금의 단청은 일곱 차례 보수작업을 거치면서 다시 칠한 것이다

이처럼 민가에 단청이 되어 있는 것은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고흥류씨정려각(高興柳氏旌閭閣)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

류씨 부인(1371~1452)은 고려 말인 1371년에 태어나 은진송씨 진사 송극기에게 출가했으나 22세의 젊은 나이에 남편을 잃었다

친정 부모는 재가를 시키려고 했으나 류씨는 4살난 어린 아들 송유를 데리고 개경에서 시가인 회덕으로 내려와

시부모를 극진히 모시면서 아들을 훌륭히 키웠다고 한다

그녀의 행적을 가상히 여겨 조선 효종 4년(1653)에 열녀로서 정려를 내렸다

 

 

 

 

상하 송촌리 삼강려(上下 宋村里 三綱閭)

송촌은 한 마을에서 도학 군자와 충신 · 효자 · 열녀 모두를 배출한 마을로 조선 왕조가 표방한 유교주의 국가시책을 가장 충실히 실천한 마을이다

삼강(三綱)이란 임금과 신하(忠) · 부모와 아들(孝) · 남편과 아내(烈)를 말하는데

이 마을엔 이 셋을 훌륭하게 수행하여 국가에서 정문(旌門)을 내린 인물들이 살았다

그러나 3효자(三孝子)의 후손들이 송촌을 떠나 대화동으로 이사가면서 3효자의 정문도 이건(移建)하게 되었다

19세기 중엽 이를 아쉬워하던 송준길의 8대손 송명로(宋明老)가 송촌에서 중리동에 이르는 길

숯거리(수박재) 바위에 「上下 宋村里 三綱閭(상하 송촌리 삼강려)」라 새겼다

그러나 1994년 송촌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이곳의 원형이 훼손되고 옛 정취가 사라질 위기에 이르자

대덕구에서는 이 마을의 전통과 정신이 잊혀지지 않도록 삼강려 애각(三綱閭 涯刻)의 바위를 떼어내어 이곳에 보존함으로써

후인들이 이곳을 지나며 충(忠) · 효(孝) · 열(烈) 삼강(三綱)의 정신을 충실히 실천했던 마을이었음을 후세에 알리고자 한다

 

 

 

 

이시직 정려각(李詩稷 旌閭閣)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6호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들어갔다가 강화가 함락되자 장렬히 순국했던 죽창 이시직(竹窓 李詩稷 · 1572~1637)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선생이 돌아가신 후 나라에서는 이조판서에 임명하고 충신의 정려를 내렸다

정려는 4개의 둥근 기둥 사이에 붉은 칠을 한 홍살을 두르고 그 안에 정려편액과 중수기(重修記)를 걸어 놓았으며

중수기에 1751년에 고쳐지었다고 적혀 있다

 

 

 

 

송촌119안전센터

 

 

 

 

동춘당(同春堂) · 동춘당 종택(同春堂 宗宅)

동춘당역사공원 안이다

 

 

 

 

대전 회덕 동춘당(大田 懷德 同春堂) / 보물 제209호

동춘당의 아버지인 송이창(宋爾昌 · 1561~1627)이 세웠던 건물을

송준길(宋浚吉 · 1606~1672)이 38세(1643년 · 인조 21) 되던 해에 지금의 자리에 옮겨 지은 별당이다

일각대문을 들어서면 담장으로 구획된 공간에 멀찍이 물러서 동춘당이 자리하고 있다

경내에는 여타의 조경없이 담장 주변으로 고송을 비롯한 몇 그루의 나무만 심어져 있는 간결한 구성을 하고 있다

*

계족산을 등지고 대덕구 송촌동에 위치한 동춘당은 조선 현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송준길이 관직에서 물러나 지내던 곳으로

정면 3칸 · 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검소하게 지었다

 

 

 

 

동춘당 종택(同春堂 宗宅) / 국가민속문화재 제289호

송준길의 5대조 송요년이 15세기 후반에 지었다고 전하며, 이후 몇 차례 옮겨 지었다

현재의 고택은 1835년에 중건한 모습이다

종택은 사랑채 · 안채 · 별당 · 별묘 · 가묘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사랑채는 일자형으로 규모가 크고 큰 사랑방과 작은 사랑방에 따로 마루방이 있다

안채는 'ㄷ'자 형 평면으로 대청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부엌 · 안방 · 골방을 배치하였고, 동쪽에는 안쪽부터 건넌방 · 부엌 · 행랑방이 있다

안마당과 사랑채 사이에 내외담을 두어 내외를 구분하였다

별묘에는 송준길의 신위를 모시었고, 가묘에는 제사를 받드는 4대 신위를 모시었다

동춘당 종택은 호화롭지 않고 검소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공간 배치가 넉넉한 기호지방 영반 집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송씨별묘(宋氏家廟) · 송씨가묘(宋氏家廟)

 

 

 

 

소대헌 · 호연재 고택(小大軒 · 浩然齋 古宅)

이전 명칭은 송용억 가옥으로 대전시지정 민속문화재였지만

소대헌 · 호연재 인물의 가치를 인정받아 「대전 소대헌 · 호연재 고택」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지정문화재가 되었다

조선 중기 건축의 원형이 잘 보전되어 대전지역의 살림집을 이해할 수 있는 건축적 가치와

충청지역에서 보기 드문 큰 사랑채와 작은 사랑채를 나란히 배치했다는 희소성이 있는 고택이다

 

 

 

 

소대헌 · 오숙재(小大軒 · 寤宿齋)

소대헌은 송준길의 증손이자 호연재의 남편인 송요화가 머물던 곳이다

송요화는 소대헌이라는 당호를 자신의 호로 삼아 자신이 기거하는 장소에도 소대헌이라는 명패를 붙였다

당호인 소대헌은 견대체불구소절(見大體不拘小節), 즉 「큰 테두리만 보고 작은 마디에는 매달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소대헌은 단촐하면서도 섬세한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구조로써 팔작지붕의 고상주거 형식이며

남쪽은 넓게 햇볕을 충분히 받게 트였고, 안채 살림집으로 들어가는 중문담과의 북쪽 통로는 좁게 바람길을 만들어 놓았다

*

송요화의 부인 호연재 김씨는 17~18세기 여류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한시 130여 수를 남겼다

 

 

 

 

금암(琴巖)

금암 송몽인(琴巖 宋夢寅)이 거문고를 연주했다고 전해지는 바위다

금암의 글이라는 설과 동춘의 글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동춘당역사공원 정자

 

 

 

 

송촌둘레길

 

 

 

 

경부고속도로 토끼굴

이 굴다리를 통과하면 계족산 자락 비래골이다

 

 

 

 

고성이씨세천지(固城李氏世阡碑)

 

 

 

 

대전 비래동 느티나무 보호수

나무 높이 16m · 둘레 5.6m · 나이 570년 · 지정일자 1990. 5

 

 

 

 

비래동 고인돌 /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3호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만들어진 지배계급의 무덤이다

중국 동북지방에서 시작하여 함경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 규슈 지방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한반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전남지방에서만 약 2만 기가 넘는 고인돌을 확인하였다

1997년 경부고속도로 확장 구간에 이 지역이 포함되었는데, 이때 고인돌 3기를 발견하여 발굴 · 조사하였다

이 고인돌은 주검을 묻는 매장부가 땅속에 있고 그 위에 커다란 덮개돌이 얹혀 있는 남방식 고인돌이다

1호 무덤에서는 요동지방에서 많이 발견되는 비파형 동검을 비롯하여 돌 화살촉과 붉은 간토기가 나왔는데

유물의 형식으로 보아 이른 청동기시대(기원전 8~9세기)에 해당한다

한반도의 고인돌에서 비파형동검이 나온 예는 호남지방에서 많이 보이나

비래동 고인돌은 그런 예 중에서 가장 시기가 빠르고 가장 북쪽에서 발견된 것으로 중요하다

덮개돌 표면에는 작은 구멍(性穴)들이 있는데 풍년을 빌거나 아들을 낳기 위해 빌었던 의식의 흔적이다

 

 

 

 

비래골슈퍼마켓 · 비래골경로당

 

 

 

 

고성이씨 동추공파 청원재(固城李氏 同樞公派 聽原齋)

고성이씨 시조는 고려 덕종 때 문과 급제 후 밀직부사와 호부상서에 올라 철령군(鐵嶺君) 봉호를 받으신 황(璜)이시다

12세 동추공파 파조(派祖) 비(埤)께서는 11세 용헌공 원(原)의 아드님 7분이 각 파조이신데

4자(子)로 1400년 출생 무과에 급제, 세종 2년(1420) 강계판관이 되시고, 세조 1년(1455) 원종공신 1등에 녹적되시고

세조 2년 행상호군과 동지중추부사에 오르셨다

 

 

 

 

초연물외 각자(超然物外 刻字)

물질적인 것에 구속되지 않고 초연하다는 의미로 동춘당 송준길이 썼다

*

옥류각(玉溜閣) 앞에 느티나무 보호수가 있다

나무 높이 15m · 둘레 2.0m · 나이 140년 · 지정일자 1990. 5

 

 

 

 

옥류각(玉溜閣)

동춘당 송준길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1693년 문인 송규렴 등이 비래동에 건립한 중층 누각이다

옥류각이란 이름은 동춘당의 「층층 바위에 날리는 옥 같은 물방울(층암비옥류 · 層巖飛玉溜)」라는 싯구에서 따온 것이다

원래 이 옥류각 바로 윗쪽에는 비래암(飛來巖)이 있었는데, 이것은 은진송씨가의 서당이었다

선생은 이곳에서 우암 송시열 · 시남 유계 · 송애 김경여 및 회덕의 제생들과 함께 강학을 하기도 하였다

옥류각은 앞면 3칸 ·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이다

계곡 사이의 바위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의 기둥을 세우고 마루를 짠 특이한 하부구조를 가지고 있다

앞면이 계곡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옆면으로 출입하도록 하였으며, 입구 쪽부터 2칸은 마루 · 1칸은 온돌방이다

 

 

 

 

옥류각(玉溜閣) 현판

청음 김상헌의 손자이자 송규렴의 처남인 곡운 김수증(谷雲 金壽增)의 글씨다

*

송준길 선생의 옥류각 관련 시(詩)

良友隨緣至 扶筇共上臺(량우수연지 부공공상대) / 좋은 벗 인연 따라 찾아왔기에 지팡이 짚고 함께 대에 오르니

層巖飛玉溜 積雨洗蒼苔(층암비옥류 적우세창태) / 층암에는 옥 같은 맑은 물 흘러내리고 장맛비는 푸른 이끼 씻어 내었네

誤軟情如漆 吟高氣若雷(오연정여칠 음고기약뢰) / 부드러운 담론 속에 정 더욱 깊어지고 소리 높여 시 읊으니 기상 우레와 같네

天行元有復 七日更朋來(천행원유복 칠일경붕래) / 하늘의 운행엔 복이 있으니 칠일에 다시 벗 찾아오리라

(「동춘당집(同春堂集)」 권24 · 시(卷24, 詩) · 비래암시에 차운)

 

 

 

 

대전 비래사 향나무

나무 높이 8m · 둘레 1.7m · 나이 210년 · 지정일자 1990. 5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大田飛來寺木造毘盧遮那佛坐像) / 보물 제1829호

실제 사람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불상으로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단정한 형태이다

대의(大衣 · 부처의 겉옷)는 오른쪽 어깨에서 팔굼치를 지나 왼쪽 어깨 뒤로 넘어가면서 가슴에 넓은 U자형의 곡선을 이루고

드러난 내의(內衣 · 부처의 속옷)는 수평을 이루고 있다

손은 두 손을 가슴 앞으로 모아서 오른손 검지 위에 왼손 검지를 올린 지권인(智拳印)의 모양을 하고

다리는 왼쪽 다리를 구부려 오른쪽 다리 위에 얹고 앉은 길상좌(吉祥坐)의 자세를 하고 있다

머리는 앞으로 약간 내밀고 시선을 아래로 두어 굽어보는 듯한 자세를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큼직한 반원형의 중간 계주(髻珠 · 부처의 상투 가운데 있는 보배 구슬)와 정상 계주를 갖추었으며

목에는 삼도(三道 · 부처의 목에 가로로 표현된 세 줄기 주름)가 뚜렷하다

둥근 어깨와 적당히 부푼 가슴, 넓은 무릎으로 부피감 있으면서도 안정된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신체 각 부분에 알맞은 비례와 자연스러운 옷 주름 표현으로 사실성이 돋보인다

특히 가슴 앞에서 모아 감싸 쥐고 있는 두 손과 이목구비의 표현은 매우 자연스러워 마치 실제 인체인 듯하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문서를 통해 정확한 제작 시기와 조각가를 알 수 있어 조선 중기의 불교 조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서에 따르면 불상은 조선 효종 2년(1651)에 제작되었으며, 17세기 전 · 중반기에 활약한 조각가이자 승려였던 무염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

산 속에 있어 벌레먹을 수 있어 개금(改金)해 놓았다

 

 

 

 

삼성각 탱화

 

 

 

 

목척교(木尺橋)

한국전쟁 당시 부산 피난민들이 헤어진 가족을 찾기 위해 「영도다리」를 서성거렸다면 대전의 피난민들은 목척교를 만남을 기약하는 장소로 택했다

1962년 발표된 안다성의 노래 「대전의 못잊을 밤」에도 등장할 만큼 목척교는 오랜 세월 동안 대전을 생각할 때마다 아련히 떠오르는 풍경이자 상징이었다

*

목척교가 처음 가설된 것은 1912년 대전 주둔 일본수비대의 병기를 수송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다리의 길이는 70m · 폭은 5m · 총 공사비는 4천6백원이었다

다리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징검다리가 있었는데

이 다리를 오가던 새우젓 장수가 세워놓은 지게가 마치 한자 「자 척(尺)」 자(字)의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목척교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 외 다리의 모양이 나무자(木尺)를 닮아서 목척이라 했다는 설도 있다

1917년 한 차례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있었으며, 1924년 대전~공주 간 도로확장과 함께 목척교 또한 길이와 폭이 약 3m 정도 늘어났다

목척교가 콘크리트 다리로 바뀐 것은 1929년으로 도청 이전을 염두에 둔 조치였다

오랜 세월 대전의 동과 서를 이어주었던 목척교는 해방 후인 1973년 대전천 복개공사로 모습을 갖췄으나

2009년 대전천 복원사업으로 다시 새로운 모습을 찾았다

 

 

 

 

대전 스카이로드

마침점인 숙소 앞이다

 

 

 

 

GPS로 확인하니

걸은 거리 13.1km, 소요시간 7시간 6분

(2022. 12. 10)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미오래(충청남도지사관)  (0) 2022.12.11
대전근현대사전시관  (0) 2022.12.11
소대헌 · 호연재 고택  (0) 2022.12.11
동춘당 및 동춘당 종택  (0) 2022.12.11
청초호 · 영랑호수윗길  (0) 2022.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