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정난종 일가 묘역

정난종 일가 묘역(경기도기념물 제115호)은 조선 전기의 문신인 정난종과 그 후손의 무덤이다

정난종 부부의 무덤은 하단에 위치하고, 장남인 정광보의 무덤이 있으며, 차남인 정광필의 무덤이 상단에 있다. 그 외 여러 후손의 무덤이 남아 있다

정난종(鄭蘭宗 1433~1489)은 세조와 성종 연간에 활동한 훈구파의 중요 인물이며, 황해도 관찰사로 있을 때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였다

서예에도 뛰어나 금속활자인 을유자의 바탕글씨를 썼다

그의 아들 정광보(鄭光輔 1457~1524)는 연산군에게 간언하였다가 길주에 유배되었고, 중종 때 창원부사에 임명되었다

정광보의 아우 정광필(鄭光弼 1462~1538)은 중종 연간에 활약한 인물로 1519년 기묘사화 때

조광조를 구하려다 좌천된 후 중종반정 이후 영의정까지 올랐다

정난종 · 정광보와 정광필은 조선 전기 문신이자 대표적인 재상 일가로 무덤의 인물을 알려주는 신도비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정난종의 신도비는 상단의 용무늬(螭首)가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정광필의 신도비는 이황이 비문의 글씨를 써 그 위상을 드러낸다

각 무덤에는 장명등과 묘표 · 문인석 등을 배치하여 조선 전기 사대부 무덤의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정난종(鄭蘭宗 1433~1489) 일가 묘역

 

 

 

 

정난종 일가 묘역 신도비각

아래부터 정난종(동래군) · 정광보(창원군) · 정광필(문익공) 신도비각이다

 

 

 

 

봉해군 정진원(蓬海君 鄭震遠 동래정씨 19세 봉산군의 장자) 부부 묘

 

 

 

 

봉해군 정진원(蓬海君 鄭震遠) 묘표

贈貞夫人全州李氏之墓(증정부인전주이씨지묘)

朝鮮國嘉善大夫同知中樞府使(조선국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

蓬海君鄭公之墓(봉해군정공지묘)

*

정난종(鄭蘭宗)의 6세 주손(胄孫)이다

 

 

 

 

동래군 정난종(東萊君 鄭蘭宗) · 정부인 완산이씨(完山李氏) 묘

조선 초기 문신으로 이조 · 공조판서 등의 관직을 거친 훈구파(勳舊派)의 거두다

특히 초서와 예서를 잘 썼으며, 자는 국형(國馨) · 호는 허백당(虛白堂) · 본관은 동래(東萊) · 시호는 익혜(翼惠)다

묘역에는 석등과 두 쌍의 문인석이 있다

보통은 한 쌍의 문인석만 있는데 두 쌍인 것은 성종 17년(1486)에 사망한 부인 묘에 문인석을 세웠다가

성종 20년(1489)에 선생이 돌아가시자 좀 더 큰 크기의 문인석을 세운 것이라 추측 된다

묘비에 익혜공(翼惠公)의 시호는 돌아가신 후 임금께 받은 것이다

묘(墓)는 부인과 쌍분(雙墳)으로, 1486년(성종17)과 1489년에 각각 조성하였다

 

 

 

 

정난종(鄭蘭宗 1433~1489)의 묘표

有明朝鮮國純誠佐理功臣資憲大夫(유명조선국순성좌리공신자헌대부)

議政府右參贊兼同知經筵事(의정부우참찬겸동지경연사)

東萊君贈諡翼惠鄭公之墓(동래군증시익혜정공지묘)

 

 

 

 

정난종 신도비각(鄭蘭宗 神道碑閣)

상단의 용무늬(螭首)가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정광필의 신도비는 이황이 비문의 글씨를 써 그 위상을 드러낸다

정난종이 북방 오랑캐를 슬기롭게 물리치고 북방을 잘 지킨 내용이 적혀 있다

비문(碑文)은 남곤(南袞 1471~1527)이 찬(讚)하고 강징(姜徵 1466~1536)이 썼다

위쪽의 이수는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놓고 싸우는 모양이며 그 밑으로 운문이 장식되어 있다

 

 

 

 

문인석

두 쌍 중 왼쪽 것이다

 

 

 

 

장명등

 

 

 

 

창원공 정광보(昌原君 鄭光輔 1457~1524) 부부 묘

 

 

 

 

창원공 정광보(昌原君 鄭光輔) 부부 묘비

淑夫人全義李氏之墓(숙부인전의이씨지묘)

通政大夫行昌原都護府使金海鎭管兵馬(통정대부행창원도호부사김해진관병마)

同僉節制使鄭公之墓(동첨절제사정공지묘)

 

 

 

 

창원공 정광보(昌原君 鄭光輔) 묘 동자석

 

 

 

 

창원공 정광보(昌原君 鄭光輔) 묘 문인석

 

 

 

 

창원공 정광보(昌原君 鄭光輔) 묘 망주석

 

 

 

 

정광보(鄭光輔 1457~1524) 신도비

본관 동래(東萊) · 자는 운지(雲之) · 1457년(세조2)에 태어났으며 성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정난종(鄭蘭宗)의 첫째 아들이다

진사시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정4품 사헌부장령에 올랐는데

 연산군에게 직간하다 길주(吉州)에 유배되었으나 중종 때 다시 기용되어 창원부사에 임명되었다

 1524년(중종18) 사망 · 사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정광보 묘

멀리 갈치저수지가 보인다

이곳 묘역은 우리나라 100대 명당 중 한 곳이다

 

 

 

 

문익공 정광필(文翼公 鄭光弼 1462~1538)의 묘

정난종의 둘째 아들로 조선 전기 문신이었으며 중종반정으로 부제학에 복직되어

이조참판 · 예조판서 · 대사헌을 거쳐 우참찬으로 전라도순찰사가 되어 삼포왜란을 수습한 뒤 우의정 ·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문익공 정광필(文翼公 鄭光弼) 부부 묘

묘는 부인과 쌍분(雙墳)으로 묘비(墓碑) 옆에는 장명등 · 상석 · 망주석 · 문인석(文人石) 등이 있다

 

 

 

 

정광필(鄭光弼 1462~1538) 묘비(墓碑) 

有明朝鮮國大匡輔國崇祿大夫(유명조선국대광보국숭록대부)

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의정부영의정겸영경연홍문관)

藝文館春秋館象監事(예문관춘추관상감사)

世子師贈諡文翼鄭公之墓(세자사증시문익정공지묘)

 

 

 

 

정광필(1462~1538) 신도비각

비신은 213×91×28㎝ · 높이 417㎝로 명종17년(1562) 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소세양(蘇世讓 1486~1562)이 짓고 이황(李滉 · 1501~1570)이 썼다

정난종의 네 아들 중 둘째 아들로 영의정을 지낸 정광필의 신도비다

 

 

 

 

정복겸(鄭福謙 1501~1552) 묘

정광필의 네째 아들(장남 정노겸 · 차남 정휘겸 · 삼남 정익겸 · 사남 정복겸)이다

정광필이 김안로의 모함으로 귀양을 가는 바람에 벼슬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음보로 강화부사를 지냈다

 

 

 

 

정유청(鄭惟淸 1534~1598) 묘

정난종의 증손으로 자는 직재(直哉) · 본관은 동래(東萊) · 정광필의 세째 아들인 정익겸(鄭益謙 1534∼1598)의 네째 아들로 배위는 숙인 전주이씨다

선조 5년(1572) 별시 을과에 급제하여 통훈대부 보덕(輔德)이 되었다

정광필(鄭光弼 1462~1538)의 묘 왼쪽에 있다

 

 

 

 

정유신(鄭惟愼 1519~1577) 묘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의 4남 2녀 중 장남이다

묘역 제일 윗쪽에 있다

 

 

 

 

정휘겸(鄭撝謙) 묘

정광필의 둘째아들이다

성종23년(1492) 진사에 오르고 그 해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성균관학유 · 의정부사록 · 봉상시작장을 역임했다

 

 

 

 

문인석

묘역을 돌고 내려오다 만든 문인석이다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연역~소래  (0) 2021.03.04
정난종주택~정난정 묘~갈치저수지  (0) 2021.02.26
군포 동래정씨 동래군파 종택  (0) 2021.02.25
인천역~화수부두  (0) 2021.02.19
오이도역~소래포구역  (0) 202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