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마포 문화비축기지

서울시에서는 1973~1974년 1차 석유파동 이후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1976~1978년 마포구 매봉산 자락에 마포석유비축기지를 조성하였으며

지름 15m~38m · 높이 15m인 탱크 다섯 개에 6,907만 리터의 석유를 비축하고 1급 보안시설로 분류하여 시민들의 접근과 이용을 통제하였다

이후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를 위해 서울 월드컵경기장을 건설하면서 인근 500m 이내에 위치한

석유비축기지가 위험 시설로 분류되어 탱크에 저장된 석유를 이전하고 2000년 12월 시설을 폐쇄하였다

그러다가 2013년에 산업 유산인 석유비축기지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하여

국제 현상공모 당선작 「땅으로부터 읽어 낸 시간」을 바탕으로 친환경 복합문화공간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기존 5개의 탱크는 공연장 · 전시장 등으로, 새롭게 신축하는 탱크는 커뮤니티센터로 재생되었고

임시 주차장이었던 넓은 야외공간은 문화마당으로 개방하여 시민들이 휴식하거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월드컵공원 인근에 41년간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되었던 마포석유비축기지가 

2015년 말부터 2017년까지 공사를 거쳐 「문화비축기지」가 되어 시민들에게 모습을 드러냈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 8번출구

시점이다

 

 

 

 

한샘사옥

 

 

 

 

매봉산 법화사

 

 

 

 

월드컵공원 형상물

 

 

 

 

월드컵공원 풋살장 옆이다

 

 

 

 

매봉산 들머리 갈림길을 지난다

 

 

 

 

담소정(談笑亭)

 

 

 

 

서울 월드컵경기장

 

 

 

 

문화비축기지

출입구 옆에 있다

 

 

 

 

안내동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문화마당

탱크에 석유를 넣고 빼던 입하대와 출하대가 있던 곳으로 기지가 폐쇄된 후에는 대형버스 임시주차장으로 사용되었고

한때는 마포구 가로수의 은행 열매를 거두어들여 보관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T6 커뮤니티센터 / 면적 2,948㎡

1 · 2번 탱크에서 해체된 철판을 재활용해 다시 조립한 신축 건축물로 강의실 · 회의실 · 카페테리아 등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T1 파빌리온

40여 년간 탱크를 둘러싸고 있던 매봉산의 암반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투명한 유리벽과 천장이 둘러싸고 있어 계절과 날씨 · 시간에 따라 이루는 분위기가 매번 다르다

 

 

 

 

T2 공연장 / 면적 2,580㎡

경유를 보관하던 탱크가 야외무대와 공연장이 되었다

입구부터 시작되는 경사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탱크의 상부는 야외무대로 하부는 공연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연이 없는 날엔 야외공간을 휴게쉼터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T3 탱크원형

석유비축기지는 1급보안시설이었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도록 탱크 주변을 흙으로 높이 쌓아 마치 언덕처럼 보이게 조성하였다

T3는 탱크의 원형을 보존하여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T3 탱크원형 / 면적 1,046㎡ · 직경 40m · 높이 15m

석유비축 당시의 유류저장탱크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덕분에 석유비축기지가 세워진 역사적 배경과 당시 경제 상황을 되돌아볼 수 있다

미래 후손들에게 남겨줄 귀중한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T4 복합문화공간 / 면적 1,228㎡

등유를 보관하던 탱크로 기존 탱크 내부의 독특한 형태를 그대로 살린 열린 공간으로

천장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햇빛이 여러 개의 파이프 기둥과 어우러져

지금까지 체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느낌을 전달하며 환경 · 문화 · 예술 등 다양한 주제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오동나무

탱크와 옹벽 사이 붉은 색 소화액관 밑으로 기름이 새면 알 수 있는 수로가 있다

왼쪽 옹벽에 오동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다

 

 

 

 

T5 이야기관 / 면적 890㎡

탱크의 안과 밖 · 콘크리트 옹벽 · 암반과 절개지까지 모두 확인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문화비축기지로 바뀌는 40여년의 역사를 기록하는 전시 공간이다

 

 

 

 

내부 공연장

 

 

 

 

2층 이야기관

등유를 저장했던 탱크에서 석유비축기지의 역사와 문화비축기지의 오늘을 담고 있는 이야기관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마포 석유비축기지의 전경 / 1980년대 추정

한강 건너 봉제산 · 궁산 · 계양산 등이 보인다

 

 

 

 

2014. 08. 23 국제 현상설계공모 발표

2017년 04. 10 기본 설계 및 실시 설계 완료

*

2014년 국제현상설계공모에서 「땅으로부터 읽어낸 시간」이 당선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친환경복합문화공간의 문화비축기지가 열리게 되었다

 

 

 

 

설비동

문화비축기지에 있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설비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공간이다

문화비축기지의 특징 중 하나는 친환경이다

문화비축기지의 모든 건축물은 지하 200m 땅속에서 나오는 지열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해결하도록 설계되었고

화장실의 수세식 용수는 생활하수로 버려지는 물을 모아 재활용토록 하였다

 

 

 

 

문화비축기지를 만든 사람들

석유 시대의 산업 유산인 옛 마포 석유비축기지를 재생하여 석유 이후의 문화를 생산하고 비축하는 문화비축기지로 조성하는데 함께한 분들이다

2017. 8. 30 서울특별시장 박원순

 

 

 

 

소화액 저장실

석유비축기지 시절 다섯 개의 탱크에 저장할 수 있는 석유는 약 6,907만 리터 정도로

많은 양을 저장하다보니 항상 화재의 위험에 대비해야만 했다

 

 

 

 

가압펌프장

석유를 올려 보내기 위한 곳이었다

탱크가 산 중턱에 있다 보니 보내기 위해서는 가압펌프장이 필요했다

반대로 출하할 때는 고도차를 활용하여 자연낙하로 내려 보낼 수 있었다

가압펌프장 지붕은 흙과 식물로 덮여 있는 것은 마치 산의 일부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 흙을 덮고 그 위에 식물을 심어 위장했다고 한다

*

풀장에서 놀던 아이들이 잠시 밖에서 휴식하고 있다

 

 

 

 

어린이 풀장

마침 풀장 청소로 잠시 쉬는 시간이다

 

 

 

 

상암 소셜박스

비빌기지와 마포사회적 경제 공동작업장이 있는 곳이다

폐산업유산으로 방치되어 있던 때인 2010년 청년 활동가들이 들어와 관리사무소와 임시주차장으로 사용되었던 곳에

재활용 업사이클링 제작소를 조성하고 공공의 마을 작업장을 만들어 활용하던 곳이다

 

 

 

 

DMC타워 · 한샘사옥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 마침점이다

*

사진이 많아 문화비축기지는 별도 포스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