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한중문화관 우호도시홍보관

한중문화관 우호도시홍보관 (3층)

중국 산동성 · 요녕성 · 절강성 · 하북성 등에 위치한 11개 우호교류도시 및 기증도시를 소개하고

각 지역의 특색있는 문물을 전시하고 있는 공간이다

 

 

원보(元寶)

중국 은괴(銀塊)의 화폐기능은 한나라 이전부터 시작되는데 당나라 때는 은병, 송 · 금시대에는 은정, 원나라시대에는 원보(원나라의 보물)라고 불렀다

*

우호도시홍보관 입구에 있다

 

 

 

 

인천광역시 중구와 중국 우호도시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으로 오랫동안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다

제2차세계대전 종전 후 공산화된 중국이 한국전쟁에서 북한군을 지원하면서 두 나라 사이가 멀어지기도 하였지만

중국이 개혁개방정책으로 선회한 1980년대 이후 관계가 서서히 회복되었고, 1992년 한중수교를 계기로 다시 긴밀한 우호협력 관계로 나아가게 되었다

 

 

 

 

한중우호연표

1995년 12월 요녕성 반금시와 우호교류를 조인한 것이 시작이다

 

 

 

 

요령성 영구시

영구시는 96km에 달하는 긴 해안선을 가진 요동반도 연해의 개방도시로서 철도와 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는 중국 동북부 교통의 요지이다

영구시 주변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유적인 금우산 원시인동굴은 가장 이른 호모 사피엔스 단계의 인골이 발견된 곳이기도 하다

이 유적의 유물들은 중국의 중원보다는 한반도 고대문명과 유사점이 많은데 최근 중국에서 이를 동북공정의 쟁점으로 활용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신석기 홍산문화 유물

홍산문화는 약 B.C 8,000~7,000년 전에 형성된 문화로 주로 랴오닝 성(遼寧省) 서부 일대에 분포한다

홍산문화는 갈아 만든 돌보습과 돌칼뿐만 아니라 화살촉 · 깎는 도구 · 가는 도구 · 자르는 도구 등의 잔석기 뿐만 아니라

돼지 ·  · 사슴의 뼈들도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농업과 목축이 병행되었음을 설명해준다

토기는 크게 진흙으로 빚은 홍도와 사질의 거친토기 등으로 구분한다

 

 

 

 

 · 북위시대 유물

한시대 도자기 · 북위시대 기마용 등이 있다

 

 

 

 

상주시대 · 요시대 · 원나라시대 · 명시대 · 청시대 · 송시대 · 청시대 유물들

 

 

 

 

상주시대 유물

청동술잔 · 주전자 ·  · 제기 등이 있다

 

 

 

 

청동솥

중국 상주시대 청동으로 만든 솥이다

 

 

 

 

요시대 유물

요시대 삼색접시 · 삼색주전자 · 백색유약주전자 · 황색 닭벼슬 모양 주전자 · 고사도 양이병

 

 

 

 

고사도 양이병

중국 원나라시대 자기로 자기 양 옆에 귀처럼 대칭으로 손잡이가 달린 병으로 옛 중국 선인들의 일상을 그렸다

 

 

 

 

명 · 청시대 유물(상)

명시대 청화연화사발 · 청시대 청화파초무늬 도자기

*

청백유온주주자(아래 좌)

중국 송대(960~1279) 술을 담는 주전자로 표면이 파르스름한 색이 도는 청백색의 청백유약을 바른 도자다

*

송시대 유물(아래 우)

중국 송대(960~1279)에 만든 꽃모양 접시 · 꽃무늬 작은 사발 · 청색 꽃무늬 사발 · 꽃모양 병

 

 

 

 

청시대 유물

 

 

 

 

절강성 항주시 하성구

항주시는 뚜렷한 사계절과 온화한 기온, 그리고 가득한 녹음으로 둘러쌓여 생활하기 좋은 도시로 알려져 있다

항주는 누에를 기르기 적합한 환경으로 예로부터 비단의 주요 생산지이기도 하였다

또한 항주시는 유구하고 풍부한 음식문화를 자랑하여 「천당미식도시(天堂味食都市)」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용천청자 · 실크 · 실크제작공정

 

 

 

 

용천청자

10세기 송대 이후 약 1,000여 년간 절강성 서남부 용천지역에서 빚어진 한국 고려청자와 같은 대표적 청자

 

 

 

 

실크서책

실크비단으로 제작한 후, 그 위에 중국 백여 가지에 이르는 중국 성씨를 기록한 책이다

 

 

 

 

실크족자

 

 

 

 

실크생산공정 모형

 

 

 

 

산동성 청도시 시남구

중국 산동반도 남단에 위치한 청도시는 따뜻하고 습윤한 해양성 기후를 가진 살기 좋은 도시이다

중국 맥주를 대표하는 칭다오(靑島)도 청도가 독일 조계지가 되면서 들어온 독일양조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해양도시 청도는 해변관광휴양지로도 유명하여 매년 7월 중국 유일의 해양테마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일찍이 해양문화가 발달한 청도는 산호와 조개로 만든 공예품 등 독특한 지역예술이 발달하였다

 

 

 

 

청도시 시남구의 공예품 전시관

 

 

 

 

사군자

 · 난초 · 국화 · 대나무의 총칭을 말하며 회화의 소재로서 대체로 당나라 때 이미 그려지기 시작했으며 북송시대부터 크게 유행하였다

 

 

 

 

12지 간지에 맞추어 자수로 수놓은 공예품이다

 

 

 

 

조개공예품

청도시는 항구도시이자 해안 도시로서 조개껍질을 이용한 수공예품이 발달했다

2008년 베이징(북경)올림픽 시 요트경기를 이곳에서 개최했다

 

 

 

 

산동성 위해시 환취구

산동성 위해시는 중국 산동반도의 동쪽 끝에 위치한 항구도시로 여름엔 서늘하고, 겨울엔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가졌다

천혜의 기후조건과 해안을 낀 지리적 위치로 해양관광산업이 발달한 휴양도시이다

위해시 북부에 위치한 환취구는 시 정부가 자리한 정치 · 경제 · 문화 · 과학기술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중국 대표 공예인 전지공예품과 금으로 장식한 도자기가 전시되어 있다

 

 

 

 

고강자기식기

중국의 도자기를 서양인들은 차이나(CHINA)라고 불렀는데, 서양식 도자기는 소뼈를 첨가했다하여 본 차이나(BONE CHINA)라고 불렀다

 

 

 

 

고강자기식기 중 하나

 

 

 

 

전지(剪紙)

종이를 오려 여러가지 형상이나 모양을 만드는 공예로

주로 가위와 칼을 이용하여 색깔 있는 종이(주로 붉은 종이)를 양각과 음각 기법을 써서 작품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미 몇 백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전지공예는 그 미적 가치로 인해 주로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벽 창문 · 기둥 · 거울 등에 붙여 관상용 장식품으로 이용한다

 

 

 

 

樂淸余氏細紋刻紙(낙청여씨세문각지)

 

 

 

 

산동성 치박시 박산구

치박시는 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수도로서 제나라의 고성 · 고분 · 순마갱 등 역사유적이 많이 남아 있는 역사문화관광도시이다

또한 도자기와 유리의 고향으로 중국 전역에 가장 큰 도자기와 유리의 집산지 중의 하나이며

박산유리대관원과 아시아 최대 도자기 생산기지인 박산도자기유한책임회사가 위치한다

이곳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세계 50여 개 나라로 수출되고 있다

 

 

 

 

내화예술

청나라 제11대 황제인 광서(재위 1874~1908) 16년에 중국 산동성 치박시에서 전해지기 시작한 문화로 신화적인 예술로 칭찬을 받고 있다

 

 

 

 

내화예술이 표현된 내화유리병

특별히 제작한 가느다란 변형 붓으로 입구가 아주 작은 병 안에 산수화초 · 인물 · 새와 짐승 등 그림을 그리는 것을 말한다

일반 중국화의 정수를 작은 병 안에 표현하기에 화가는 아주 숙련된 기교와 대단한 정신력을 가져야 한다

 

 

 

 

수공 유리조각 공예품

유리재료를 커버하여 조각한 공예로 산동성 치박시 박산구 유리업계에서도

독창적인 2층 소결기술(다른 두 가지 유리재료를 고온으로 융합하여 조각된 공예기법)로 제작한 공예품이다

 

 

 

 

수공 유리조각 공예품

 

 

 

 

수공 빗방울 유약 도예품

빗방울 유약, 또는 기름방울 유약이라고 불리며, 중국 고대 도자기유약 중 유명하고 진귀한 품종이다

빗방울 소성기술은 중국 송나라 때부터 시작했으나 원대에 오면서 그 기술을 잃어 버렸으며

1940년대에 이르러 산동성 치박시 박산지역 공예가들의 꾸준한 발굴 및 기술을 통해 어려운 유약소성기술이 오늘날까지 이어왔다

빗방울 유약은 흑유로 빛나는 유약표면에 은회색으로 된 방사형 원점이 마치 수면 위에 떠 있는 기름방울처럼 보인다

또한 빗방울유약으로 소성된 찻잔에 차(茶)물을 따르면 원래 은회색 반점이 금황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차주전자

차잎분말의 유약도 유명하지만, 특히 빗방울유약의 작품은 차물을 따르면 은회색 반점이 금황색의 별로 변한다

 

 

 

 

중국악기 양금과 그 뒤 얼후 · 훌루스 · 유금 · 생황

양금은 타현악기로 페르시아에서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사다리꼴 판면 위에 총 72줄의 현을 매어 이것을 해머스틱으로 두드려 소리를 낸다

 

 

 

 

태산

산동성 중부의 태안 · 제남 · 역성 · 창성 4개 시현에 걸쳐 있는 태산은 총 면적이 426㎢에 이르며 동서 30km · 남북 40여 km에 달하는 위용을 자랑한다

우리의 지리산 크게와 비슷하지만 산동성 중앙 평원지대에 우뚝 솟아 더욱 높아 보인다

중국인에게 태산은 하나의 산으로서가 아니라 신앙과 믿음을 주는 영적인 산으로 존재한다

 

 

 

 

용산진 흑도

1930~1931년에 조사된 산동성 역성현 용산진의 성자애유적에서 채도와는 전혀 다른 흑도가 발견되어 주목을 끌었다

용산문화에 속하는 토기 중에 20% 정도를 차지하는 전형적인 흑도는 토기 겉면이 검은색을 띠고

갈아서 광택을 내기 때문에 검정토기 · 흑색토기 · 흑색마연토기 등으로도 불린다

흑도는 산화철을 두껍게 바르고 환원분위기에서 굽거나 굽는 도중에 갑자기 불완전 연소시켜 연기가 흡착되어 검게 그을리게 하거나

망간 등의 검은 색 광물을 발라서 굽는 등의 방법으로 검은색을 띠게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용산진 흑도자기(黑陶)

중국 신석기 말부터 현재까지 약 4,0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황하 중하류 원시 문화의 대표작이다

 

 

 

 

산동성 제녕시 미산현

연꽃의 도시로 유명한 미산현은 미산호문화로 이어지는 유구한 역사를 가졌고, 이에 따라 문화적 온축(蘊蓄)도 풍성하다

 

 

 

 

고장 희극 인물(古裝 戱劇 人物)

물들인 찹쌀가루를 원료로 하여 방부제와 혼합하여 손으로 빚은 후 광택을 낸 전통 공예품으로 미산현의 일반인 작품이다

 

 

 

 

그 중 하나다

 

 

 

 

채회니제품- 검은색 · 흰색과 중국의 아동

진흙을 원료로 하여 사람과 동물들을 표현하여 채색한 작품으로 간결하고 자연스럽다

 

 

 

 

중국의 아동(민간 흑공예)

중국 아동의 다양한 모습을 민간공예작가가 만들어 기증한 작품으로 한중 아동들의 놀이문화가 비슷한 부분을 볼 수 있다

 

 

 

 

삼촌금련혜 · 호두면혜

미산현의 한 노인이 베를 재료로 연꽃과 호랑이 머리 형상 신발을 만든 작품 농촌의 소박하고 예스러운 정취가 묻어 있다

 

 

 

 

그 중 하나다

 

 

 

 

전시관

 

 

 

 

중국전통의상 체험공간 안내판

 

 

 

 

중국전통의상 체험공간

옷을 입고 사진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다

 

 

 

 

진시황릉 2호 마차

마차의 명칭은 안거이며 은량차(辒辌车)라고도 한다

진시황이 전국을 순행할 때 타는 마차이다

2호마차는 길이 3.17m · 높이 1.06m · 총중량 1,214kg으로 3,46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청동재질 부품은 1,742개 · 황금 재질 737개 · 은 재질 983개이다

모두 현대의 기술과 놀랄 정도로 비슷하며 사람들의 상상을 뛰어 넘는 수준이다

*

한중문화관 복도에 있다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화교역사관  (0) 2018.03.31
한중문화관 한중문화전시관  (0) 2018.03.31
한중문화관 갤러리  (0) 2018.03.31
인천광역시 중구  (0) 2018.03.31
한국근대문학관 근현대 베스트셀러 특별전  (0) 2018.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