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자유수호평화박물관

한수 이북지역 최초의 평화박물관으로 6 · 25전쟁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이해를 도모하고

UN참전국과의 우호증진과 지역문화 발전 및 경제활성화의 목적으로 2002년 개관했다

 

 

자유수호평화박물관

부지 40,000㎡에 야외전시장을 갖춘 지상 4층 박물관이다

 

 

 

 

우리의 소원 노래비

야외전시장이다

 

 

 

 

M48 A2C 전차

미군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주력 전차로 사용하고 있던 M48전차를 개량한 것으로

항속거리를 증가시켰으며 관측장비 및 사격 통제장치를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5〃/38 2연장함포

미국이 1940년대에 개발한 대공, 대함용 함포다

한국 해군은 1959년에 도입하여 대함전, 대공전, 대육상 함포 지원을 위해 구축함, 호위함 등에 탑재 운용하였다

 

 

 

 

3〃/50 단연장 함포

한국군 초창기에 도입된 백두산호의 주포로서 6 · 25전쟁이 시작된 1950년 6월 25일 대한해협 해전에서 북한군의 무장수송선을 격침시킨 함포다

 

 

 

 

T-33항공기

미 공군이 육군으로부터 독립되기 전인 1940년대 후반쯤에 개발된 P-80슈팅스타를 고등 훈련기로 개조한 항공기다

 

 

 

 

네델란드군 참전기념물

 

 

 

 

벨기에 오줌누는 소년상

 

 

 

 

사패지 경계석(향토유적 제1호)

조선 초기의 무신인 어유소(1434~1489)장군이 1488년 성종과 함께 어등산에 올라 사냥을 하던 중 날아가는 솔개를 맞춰 떨어뜨리자

어유소 장군 궁술에 감탄한 성종이 어장군에게 현재의 동두천시 일대를 사패지로 하사하였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문인석을 세운 것이라 전해온다

능안마을 밭 가운데 있던 사패지 경계석은 6 · 25전쟁 때 일부 파손되었고 그후 동두천시청사 이전 후 시청 잔디공원에 옮겨 놓았다가 이곳으로 이전했다

 

 

 

 

타일그림으로 해방 · 정부수립 등을 보여준다

 

 

 

 

유엔군 참전 · 인천상륙작전 등의 타일 그림이다

 

 

 

 

2층으로 오르는 계단에 6 · 25전쟁 당시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국제연합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유지하며 정치 ·경제 · 사회 ·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증진시키는 역활을 하는 국제기구다

1946년 붕괴된 국제연맹을 계승한 것으로 1945년 10월 24일 창설되었다

 

 

 

 

6 · 25전쟁과 유엔

유엔은 창설 이후 처음으로 6 · 25전쟁에 유엔군을 파견했다

 

 

 

 

유엔군 참전규모

미국이 참전일자 1950년 6월 27일, 참여인원 5,720,000명으로 가장 빨리, 가장 많은 인원이다

참여인원 숫자로 보면 영국 · 캐나다 · 터어키 · 태국 · 그리스 순이다

 

 

 

 

유엔군 참전일지

1950, 6, 28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한국군 지원 결의안 채택되었고 1950, 7, 1 미 지상군 선발대 부산 도착했다

 

 

 

 

평양탈환작전(1950, 10 , 15~ 20)

북진 당시 서부전선으로 진격한 국군제1사단과 미 제1기병사단이

중부전선으로 진출한 국군 제7사단 제8연대와 함께 평양을 포위공격하여 평양을 탈환했다

 

 

 

 

지평리전투

중공군의 1951년 2월 공세 당시 미 제2사단 제23연대가 배속된 프랑스대대와 함께 원주 북방의 지평리에서

중공군 제39군 예하 3개 사단의 집중공격을 막아낸 방어전투로 중공군이 인해전술로 몰아 붙이는 공세가 실패한 것도 이곳이 처음이었다

 

 

 

 

6 · 25전쟁이 남긴 피해

참전국가별 병력피해로는 미국이 역시 제일 많다

 

 

 

 

참전국가별 부스

 

 

 

 

미국의 참전 개요

 

 

 

 

영국의 참전 개요

UN에서 안전보장이사회의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였지만 미국이 제안한 공산 침략행위 정지요청과 한국에 대한 군사원조를 지지했다

 

 

 

 

오스트렐리아

6 · 25전쟁 발발 직후 6월 28일 UN에서 한국에 대한 군사원조를 결의하자

영연방 극동해군사령부에 퍄견중인 2척의 함정과 일본에 주둔중인 1개 비행대대의 파견을 통보하였다

비록 파병 규모는 적었지만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육 · 해 · 공군을 파견한 국가다

 

 

 

 

1층 로비

2층에서 3층으로 오르기 위해 계단으로 이동 중에 만들었다

 

 

 

 

3층 전시장으로 오르는 계단

 

 

 

 

현재 동두천시 보산동 부대 앞에서 군용 물건을 파는 어린이(1954년)

계단에 전시되어 있는 사진이다

 

 

 

 

현재 동두천시 보산동 미2사단 앞 국도(1954년)

 

 

 

 

신천을 따라 가시는 아주머니

 

 

 

 

마차산 마루금

한탄 이호왕박사기념관 앞 쉼터에서 봤다

 

 

 

 

전쟁 이전의 남한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망과 함께 한반도의 북쪽은 소련군이 남쪽은 미군이 일본의 항복을 접수하게 되었다

 

 

 

 

전쟁 이전의 북한

소련군은 1945년 8월 8일 대일선전포고와 함께 한반도로의 남진을 시작하여 24일 평양에 진주하였다

그 후 소련은 북한 전역에 걸친 군정체제를 완료하였으며 그들의 추종자 김일성으로 하여금 임시 인민위원회를 만들고 실권을 장악하도록 하는 등

소련의 위성국가화 하려는 계획에 주력하였고, 1948년 2월 8일에는 인민군 창설까지 마쳤다

그리고 그 해 9월 9일 정식으로 김일성 중심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였다

 

 

 

 

북한의 남침

 

 

 

 

지휘관 - U.N.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 · 리지웨이 장군 · 클라크 장군

 

 

 

 

동두천전투

동두천전투의 패전으로 포천과 의정부 전선이 무너진 뒤로 그 파급 영향은 거의 전 전선에 미치게 되어 서울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인천상륙작전

유엔군은 북한군을 일거에 포위 격멸한다는 전략 목표로 전쟁 초기부터 비밀리 추진해 온 인천상륙작전을 9월 15일 개시하였다

 

 

 

 

서울의 수복

9월 27일 새벽, 한국 해병대가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함으로써 서울을 탈환했다

이는 서울을 빼앗긴지 90일 만의 수복이었으며 97일만에 38선도 회복하였다

 

 

 

 

38선의 돌파

유엔군은 약 3개월에 걸친 수세에서 벗어나 공세로 전환하여 북한군의 주력을 섬멸하고

서울을 수복한데 이어 38선으로 진출함으로써 이전 국토를 회복하였다

 

 

 

 

한 · 만 국경선 진격

중부전선으로 진격한 제6사단은 10월 26일

최초로 한 · 만 국경선상의 초산에 돌입하여 국토통일을 눈 앞에 두게되는 듯하였다

 

 

 

 

중공군의 개입

1950년 10월 1일 스탈린과 김일성으로부터 중공군의 파병요청을 받고 동북변방군을 인민지원군으로 개칭하여 한반도로 출병하였다

 

 

 

 

유엔군의 재반격

종전을 위해 한국군과 유엔군은 1950년 11월 24일 총공세를 개시하였으나 중공군이 참전함으로써 한국전쟁은 예기치 못한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전세는 순식간에 역전되었고 전쟁은 유엔군과 중공군의 대결구도로 발전함으로써

한반도에 국한되느냐 아니면 또 다른 세계대전이냐의 기로에 처하게 되었다

 

 

 

 

휴전회담의 제의와 조인

유엔군과 공산군 측은 1951년 7월 10일 휴전협상에 협의함으로써

전쟁은 교착된 전선의 열전과 휴전협상의 설전으로 변모하였으며 쌍방의 첨예한 이해관계 대립으로 중단과 속개를 반복하였다

 

 

 

 

포로송환

포로송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휴전회담에 의거 포로송환위원회가 구성되었지만

포로 수와 교환방법에 대한 양측의 공방이 계속되자 유엔군측 제의로 우선 부상포로와 환자포로의 교환이 이루어졌다

1953년 6월 8일 마침내 유엔군 측의 지원송환 원칙과 공산군 측의 전체송환 원칙의 절충으로 타결되어

반공포로는 자유세계에 남거나 제3국으로의 송환 길이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양측의 엇갈린 주장으로 포로문제만 합의하는데만 20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이 때문에 휴전도 그 만큼 늦어지게 되었다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이민사박물관  (0) 2015.04.11
월미산둘레길  (0) 2015.04.11
지행역~소요산역  (0) 2015.03.21
국립서울현충원  (0) 2015.03.07
전쟁기념관 (6·25전쟁실, 해외파병실, 국군발전실)  (0) 201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