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한국영화박물관 씬의 설계

한국영화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하고 있는 〈씬의 설계〉는 미술감독이 디자인한 영화 속 세계이다
프로덕션 디자인은 한 편의 영화를 시각적 의미로 해석하고 영화 전체의 외양

즉 비주얼(visual)과 룩(look)을 총괄함으로써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세계관을 시각적언어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제작 · 생산」의 프로덕션과 「계획 · 설계」인 디자인이라는 단어가 합쳐진 《프로덕션 디자인》은 산업적 측면과 예술적 측면의 의미를 함께 담고 있다

이는 곧 영화의 시각적 측면에 전체적으로 관여하며 예술적 창조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시각적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제작과 관리 전반을 일컫는다

 

 

씬의 설계 / 미술감독이 디자인한 영화 속 세계

한국영화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하고 있는 〈씬의 설계〉는 미술감독이 디자인한 영화 속 세계이다
프로덕션 디자인은 한 편의 영화를 시각적 의미로 해석하고 영화 전체의 외양

즉 비주얼(visual)과 룩(look)을 총괄함으로써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세계관을 시각적 언어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프로덕션 디자인이라는 명칭은 1939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빅터 플레밍)에서 처음 쓰였다

미술을 담당한 윌리엄 카메론 멘지스는 영화 전체 장면을 스토리보드화하고

화면 구성 · 촬영의 움직임 등 시각적인 모든 요소를 설계 · 조율 · 관리하여 영화의 완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프로덕션 디자이너」라는 타이틀로 명예상을 수상함으로써 「프로덕션 디자인」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다

한국영화는 1990년대 초반까지 연출부에서 세트와 소품 등 미술작업을 맡아 진행하는 것이 관례였다

1992년 〈그대 안의 블루〉(이현승)에서 「아트 디렉션 시스템」이 처음으로 도입된 뒤

영화가 흥행과 미학적 성취를 인정받자 영화 제작 시스템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고

1990년대 중후반부터 한국영화에서도 프로덕션 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 한국영화는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

그 배경에는 미학적 성취의 중심축을 담당한 프로덕션 디자인의 역할이 상당히 컸다

초고화질 디지털촬영이 일반화되면서 더욱 정교하고 현실적인 재현요구가 증가하는 동시에 영화의 미학적 성취에 대한 관객의 기대치는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최근 한국영화의 프로덕션 디자인은 관객은 물론 칸영화제 벌칸상 등을 수상하며 안팎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영화 속 설계는 어떻게 설계되는가

프로덕션 디자인은 프로덕션이라고 하는 제작 · 생산의 의미와 디자인이라는 계획 · 설계의 의미를 내포한다

산업적 측면과 예술적 측면이 공존한다는 것은 예술적 창조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시각적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제작과 관리 또한 포함됨을 의미한다

*

프로덕션 디자인은 크게 분석 - 디자인 - 제작의 단계로 나뉜다

 

 

 

 

길복순 · 한산: 용의 출현 · 헤어질 결심 · 킹메이커 · 아가씨

 

 

 

 

길복순 · 한아름 프로덕션 디자이너

콘셉트 디자인 /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디자이너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미지화 하는 작업이다

 

 

 

 

상가 식당 외부 전경

「평행 서울」이라는 콘셉트로 한강을 기점으로 남쪽은 지금보다 개발되고, 북쪽은 슬럼화된 상태로 설정했다

외관의 아케이드는 피렌체 베키오 다리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내부 주변 상가는 모두 공실로 설정해 킬러 업계에서 퇴출당한 수근의 상황을 공간적으로 표현했다

 

 

 

 

폐쇄된 한강 다리

 

 

 

 

블라디보스톡 바

 

 

 

 

킹메이커 · 한아름 프로덕션 디자이너

목포 선거 사무실은 무역항이라는 목포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물류 창고를 개조하여 만들어진 사무실로 디자인했다

목조의 따뜻한 감성과 연극 무대와 같은 세팅과 동선으로 디자인함으로써 뜻을 같이한 동지들의 뜨거운 에너지가 느껴지는 공간으로 디자인했다

 

 

 

 

킹메이커 스토리보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씬별로 대사 · 액션 · 카메라 앵글 · 동선 등을 이미지화한 자료로

감독 · 연출 · 촬영 · 미술 등 주요 팀이 함께 참여하여 제작한다

 

 

 

 

S#17 목포사무소 - 사무소 안

사무실에 모여 있는 신민당의 운동원들에게 연설을 시작하는 창대

 

 

 

 

씬별 체크 리스트

씬의 순서와 상관 없이 동일한 공간에서의 연속적 촬영을 위해 씬의 기본 정보를 표기한 리스트다

 

 

 

 

목포항 트럭 연설

 

 

 

 

킹메이커 · 목포

 

 

 

 

공간 그래픽

대도구 · 소도구 등 다양한 소품에 필요한 그래픽 작업이다

선거 홍보물은 1960~70년대 실제 선거 피켓과 현수막 글씨체로 재현했다

 

 

 

 

한산 : 용의 출현 · 조화성 프로덕션 디자이너

조화성 프로덕션 디자인은 「이순신 삼부작」 중 〈한산 : 용의 출현〉과 〈노량 : 죽음의 바다〉의 프로덕션 디자인을 맡았다

배에 사용된 목재의 색감과 두께의 경고함 등을 모두 계산하여 몰입감을 높였다

철저한 고증을 위하여 규장각 사료뿐만 아니라 일본 고서 등도 조사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점은 프로덕션 디자이너만의 상상력이다

물량적으로 우세했던 일본군은 화려하고 사치스럽게 반대로 조선군은 소박하고 초라하게 전체적인 톤을 설정해 격차를 둠으로써

영화 후반부 극적인 승리를 더욱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게 설계했다

 

 

 

 

콘셉트 디자인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디자이너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미지화하는 작업이다

 

 

 

 

헤어질 결심 · 류성희 프로덕션 디자이너

평범한 부부의 생활공간이라는 현실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 아파트로 설정했지만, 내부 전체를 목재로 마감함으로써 인물의 정체성을 부여하려 했다

기도수의 서재는 거대한 음악감상실처럼 디자인했으며, 주방은 인물의 생활양식에 기반하기보다

영화의 시작인 산과 끝인 바다, 그리고 서래와 해준의 관계를 관념적으로 해석하여 디자인했다

 

 

 

 

헤어질 결심의 장면 / 프로덕션 디자인 류성희 · 연출 박찬욱 2022

 

 

 

 

세상에 존재하는 / 하지 않는 모든 공간을 창조하다

여기, 마치 매일 본 듯한 익숙한 공간이자 세상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있다

프로덕션 디자인은 상상의 세계를 현실 공간처럼 창조하기도 하고

누군가의 실제 생활공간에서 촬영했을지라도 그것을 영화 주인공이라는 가상 존재의 일상으로 만드는 마법적 힘을 가지고 있다

영상은 류성희 · 조화성 · 한아름 프로덕션 디자이너가 스크린 위에 디자인한 공간을 분절하여 혹은 연결하여

때로는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다각적인 시선으로 그들이 새롭게 창조한 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서래의 집 주방 벽지 · 최종 버전

류성희 프로덕션 디자이너의 인장 중 하나는 벽지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서래의 집 주방 벽지는 산에서 제작해 바다에 이르는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감정을 표현했다

벽지의 일률적인 패턴은 산 혹은 바다의 파도처럼 보이기도 하며, 서래와 해준의 녹음된 목소리의 파동, 즉 떨림과 울림을 표현했다

여러 차례 수정 과정을 거치면서 벽지는 초반보다 조금 더 어두운 톤으로 최종 디자인되었다

 

 

 

 

외부에서 바라본 서래의 집

 

 

 

 

아가씨 · 류성희 프로덕션 디자이너

히데코와 숙희가 처음 만나고 사랑에 빠지는 공간 히데코의 방

관념적으로는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되 전체적인 색은 오히려 반대로 차갑지만 고상하면서 순수한 색을 전체 톤으로 설정했다

여인의 피부 안에 흐르는 동맥과 정맥과 같은 색을 구현하기 위해 특별히 더욱 정교하게 고민하고 색을 선정한 공간이다

 

 

 

 

아가씨 · 히데코의 방 스토리보드

숙희를 소개받고, 글을 읽을 줄 아는지 확인하는 히데코

 

 

 

 

나오며 돌아 봤다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0) 2023.08.03
한국영화박물관  (0) 2023.08.02
한국영화박물관 초기 영화로의 초대  (0) 2023.08.02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영화사  (0) 2023.08.02
장흥면누리길  (0) 2023.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