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대한콜랙숀(삼일운동100주년 간송특별전)

DDP디자인박물관에서 열리는 「대한콜랙숀(삼일운동100주년 간송특별전)」을 봤다

「대한컬랙숀」이란 간송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일제에 대항하여 모으고 지킨 우리의 국보 · 보물 · 유물뿐만 아니라

민족 자긍심을 지키고 이어갈 인재 양성을 위해 보성학교를 인수한 것 또한 포함한다

단지 모으고 지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문화재들과 그 속에 깃든 정신이 대한민국의 미래로 전해지기를 바랐던 간송의 마음을 느껴보는 전시다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역이 시점이다

 

 

 

 

동대문 골목길 관광안내도

600년 옛 도시 종로의 길을 걷다

동대문역 앞에 있다

 

 

 

 

경성궤도회사 터 빗돌

1930년부터 1961년까지 뚝섬과 광나루까지 경성궤도회사가 경영하던 궤도전차가 운행하던 시발지이기도 했다

이 협궤전차는 승객 및 물자수송 · 교외 나들이의 중요한 교통시설이었다

 

 

 

 

외국인들이 많은 종로와 청계천을 연결하는 골목길이다

 

 

 

 

오간수문

성 안의 청계천 물길이 빠져나가던 문으로 원래 오간수교 위치에 있었던 것을 왼쪽으로 옮겨 작게 만들어 놓았다

 

 

 

 

평화시장 · 동대문종합시장

오간수교에서 봤다

 

 

 

 

세계 도시 방향안내판

 

 

 

 

한양도성순성길 바닥안내판

 

 

 

 

도심보행길 바닥안내판

동대문에는 여러 개의 걷기길이 있다

 

 

 

 

이간수문

남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도성 바깥쪽으로 보내기 위해 조성한 두 칸 구조의 수문이다

물가름을 용이하게 하는 배머리 모양의 돌가름석과 적을 막기 위한 목책이 있다

참고로 오간수문은 이간수문보다 더 컸다고 한다

 

 

 

 

예전 동대문운동장 조명탑

운동장이 폐쇄되면서 다섯 개 중 두 개의 조명탑을 남겨 놓았다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여성 건축가로서는 최초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자하 하디드(Zaha Hadid)가 설계한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비정형 건축물이다

 

 

 

 

푸드트럭

살림터 앞쪽에 있다

 

 

 

 

배움터 · 살림터 사잇길이다

 

 

 

 

살림터

재치 있고 기발한 디자이너의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디자인 숍과 DDP기념품과 서울상징관광기념품을 판매하는 곳이 있다

 

 

 

 

배움터

디자인 전시관 · 디자인박물관 · DDP기록관과

지하 2층에서 지상 4층까지 총 533m 통로가 완만한 경사로 이어진 디자인둘레길이 있다

 

 

 

 

거인의 두상 - 안레산드로 멘디니

"날씬하고 길쭉하며 모호한 형태의 눈은 우리가 사는 복잡한 세상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입은 노래하는 것처럼 보이고 자조 섞인 웃음을 짓는 것 같아 보입니다

멘디니는 이 조형물을 통해 인간이 사물을 바라보듯이 사물들 역시 우리들을 바라봤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디자인박물관

대한콜랙숀(삼일운동100주년 간송특별전)이 열리는 곳이다

 

 

 

 

디자인박물관 내부

간송 전형필과 우송 전성우의 소개글과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이 있다

 

 

 

 

3 · 1운동과 「보성」전시실

「보성」의 역사는 바로 일제하의 독립운동사에 직결된다

"학교를 세워 교육을 일으켜 나라를 돕는다(興學校以扶國家)"라는 이념을 앞세워 출발한 「보성」은 민족정신의 요람이었다

이미 독립운동의 민족대표 33인 중 보성의 교주였던 손병희 선생을 비롯하여 교장 최린 선생 등이 3 · 1운동의 주역을 맡았던 대표적 인물이었으며

「기미독립선언문」을 인쇄한 「보성사」를 위시한 민족항쟁의 자취가 「보성」의 역사와 전통 곳곳에 살아있다

현재의 학교재단인 「학교법인 동성학원」도 민족정신과 교육실현의 순수동기로 간송 전형필 선생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특히 당시의 보성 학생들은 불타는 민족애와 독립을 이루고야 말겠다는 일념으로 항쟁에 앞섰으며 그 희생정신은 민족 자주 독립의 횃불이 되었다

 

 

 

 

보성 20인

간송 선생이 민족교육의 불씨를 살렸던 보성학교가 주도했던 2 · 8독립선언, 그리고 3 · 1운동에 적극 가담했던 보성의 학생들과 그들을 이끌었던 교사들

학교를 설립하고 민족교육을 위해 노력한 사람들을 비롯해서 그 동안 보성이 배출한 민족 문학가들이 여기 정육면체 상자 위에 설명되어 있다

 

 

 

 

광복 후 매년 3월 1일에 거행된 졸업식에서 학생들에게 낭독하기 위해 간송이 직접 쓴 독립선언서다

 

 

 

 

보화각(葆華閣) · 간송 전형필

간송미술관의 전신인 보화각은 일제강점기인 1938년 전형필이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박물관으로

국보 12종 · 보물 31점 · 유형문화재 4점 등 수천 건의 유물을 수장하고 있는 우리 민족의 보물창고이다

간송은 우리나라 최초로 서구식 건축술의 전문교육을 거친 박길룡에게

최고급 자재로 최대한 튼튼하게 오랫동안 남을 건물을 의뢰해 4년 만에 이 건물을 완공했다

간송의 스승 위창 오세창 선생은 박길룡이 지은 이 최초의 모더니즘 건물에 「빛나는 보물을 모아둔 집」이라는 뜻을 담아 《보화각》이라 이름 지었다

1971년, 간송미술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그 해 가을 겸재전을 시작으로 일 년에 춘계 · 추계 두 차례 대중에 공개 전시회를 주최하며 현재에 이르렀다

 

 

 

 

불쏘시개로 사라질 뻔한 〈겸재화첩〉구출기

문헌화랑 고문 장형수가 친일파 매국노 송병준의 손자에게 20원에 샀던 「해악전신첩」을 간송은 1,500원을 주고 샀다

 

 

 

 

정선 해악전신첩

화첩의 그림은 21폭인데 한가운데에는 양면에 걸친 〈금강산도〉가 있다

그리고 그림마다에 붙인 21폭의 화제를 합해 모두 42폭으로 된 화첩이다

 

 

 

 

금강내산 / 해악전신첩 · 비단에 채색 · 32.5×49.5cm

단발령을 넘어 내금강 지역에 들어서면 금강산 일만 이천 봉이 연꽃송이처럼 떠오른다고 한다

정선은 이 정경을 마치 하늘에 올라 내려다보는 시각으로 한 화폭 안에 담아내었다

 

 

 

 

청자상감운학문매병 / 국보 제68호

이 매병은 당당하게 벌어진 어깨에서 굽까지 내려오는 유려한 S자 곡선을 지닌 전형적인 고려식 매병이다

흑백으로 상감된 이중 원문 안에는 상공을 향해 날아가는 학을 · 원 밖에는 지상으로 내려오는 학을 배치하였다

고려시대 최고급 청자를 제작하였던 부안 유천리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작품이다

간송은 1935년 일본인 마에다 사이이치로에게 당시 기와집 20채에 해당하는 2만 원을 주고 이 병을 구입하였다

 

 

 

 

청과시장에서 사과 몇 알 사듯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을 냉큼 사버린 간송

 

 

 

 

경성미술구락부

경성미술구락부는 1922년 창립된 남산정 2정목 1번지(현재 명동 프린스호텔 자리)에 위치했던 미술경매주식회사의 명칭이다

일제강점기 횡행했던 도굴 등을 통해 쏟아져나온 물건 등의 거래가 늘어나자 나고야 · 도쿄 · 교토 · 오사카 · 가나자와에 이어 6번째로 경성에도 설립됐다

경성구락부가 위치한 곳은 경성에서 활동하는 일본인 인구의 절반 정도가 거주한

현재의 명동 · 충무로 · 회현동 · 남산동 일대를 지칭하는 이른바 「남촌」 지역이었으며

조선인의 참여가 매우 제한적이었음을 감안했을 때 일본인들의 합법적인 유물 반출 창구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경매 일정이 잡히면 도록을 제작해 관계자에게 배포하고 경매 당일 이전의 하루나 이틀 정도 일반에 실물이 공개되기도 했지만

우리가 경매라고 하면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서양의 옥션과 달리 회원인 골동상만이 경매에 참여할 수 있는 매우 폐쇄적인 상거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간송은 주로 일본인 골동상 신보기조(神保喜三)를 대리인으로 하여 경매에 참여했다

*

경성미술구락부 경매에서 구입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구입한 시기와 가격 등을 알 수 있어 유용하다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 / 국보 제294호

목이 길고 몸체가 달항아리처럼 둥그런 유백색의 병에 국화와 난초를 양각하고

산화코발트 · 산화철 · 산화동 등 안표를 사용하여 청색 · 갈색 · 홍색으로 장식하였다

이 세 가지의 안료는 성질이 서로 달라 제작에 있어 높은 기술이 요구된다 ((현재 이 기술은 전수되지 않았다))

조선 백자에서 사용되는 모든 안료와 다양한 조각 기법이 이처럼 완벽하게 구현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1936년 간송이 일본인 수장가들과 치열한 경합 끝에 경성미술구락부에서 경매 사상 최고가인 1만 4,580원에 낙찰받아 인수했다

 

 

 

 

야마나카상회

일본 근대의 고미술상 · 오사카에서 기원하여 19세기 중후반 구미의 일본미술 애호풍조에 편승하여 사업을 크게 확장시켰고

19세기 이후에는 중국 미술품을 대량으로 유출시켜 판매하여 엄청난 부를 쌓았다

아시아 고미술품 관련한 최대의 무력상으로 해외에 동양미술을 소개했다는 것과 함께 동양의 지보(至寶)를 구미에 유출시켰다는 비판도 동시에 받고 있다

야마나카상회는 야마나카 가(家)의 사위가 된 야마나카 테이지로에 의해 세계적인 고미술상으로 발전하였다

 

 

 

 

청자양각연당초운문합

불교 의례의 예식용 향이나 여인들의 화장용구 등을 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합이다

지름이 20cm에 달하는 비교적 큰 형태인데 작은 합들과 세트를 이루는 모자합(母子盒)이었는 지는 분명하지 않다

유색과 반양각 기법으로 조각한 연당초문 · 영지형 운문의 형태 내화토 받침 번조 등으로 보아 12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희준

희준이란 각종 제례에서 술을 담아두는 큰 술항아리를 지칭하며, 소를 형상화했다

이 작품은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 내부는 술을 담을 수 있도록 비어 있다

소 모양의 몸체는 꼬리부터 목까지 물레로 성형한 뒤 머리와 다리 등을 접합하였다

간송은 이 작품을 1934년 경성미술구락부 경매에서 410원에 구입하였다

 

 

 

 

청자상감모란문반

청자로 만들어진 반(盤)으로 추정되는데, 반이란 중국 주대부터 청동기 예기(禮器)로 음식을 담는 그릇이었다

색상은 암갈색에 가깝고 전면에 균열이 잘게 가있으며 중앙 구연부에 모란절지문과 국화문을 상감하고 모란문 바깥으로 4개의 초문을 음각하였다

간송은 이 작품을 1937년 이병직 소장품으로 꾸며진 경성미술구락부 경매에서 변상벽의 「자웅장추」 · 「백자청화동자조어문병」과 함께 구입하였다

 

 

 

 

윤정현 초상

19세기 저명한 문인이자 금석학자인 침계(梣溪) 윤정현의 초상화이다

추사 김정희의 제자로서 조선 말기 어진화사로 일컬어졌던 희원(希園) 이한철이

19세기에 유행했던 북학풍의 새로운 문인화풍으로 그린 별격의 초상화라 더욱 주목되는 초상화이다

박창훈이 소장하고 있었으나, 1940년 4월 6일 경성미술구락부 경매를 통해 간송이 구입하였다

 

 

 

 

예서대련(隸書對聯)

"대팽두부과강채(大烹豆腐瓜薑菜) · 고회부처아녀손(高會夫妻兒女孫)

좋은 반찬은 두부 · 오이 · 생강나물, 훌륭한 모임은 부부와 아들딸 · 손자

*

추사 김정희가 철종 7년(1856) 10월 10일에 돌아가시는데 이해 8월쯤 썼으리라 생각되는 절필 대련으로 추사체의 진면목이 함축된 대표작이다

71세 과천 사는 노인이라는 의미의 71과(果)라는 관서(款書)가 이를 증명해준다

간송이 1937년 3월 28일 경성구락부에서 구입한 이병직 구장의 작품이다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 / 국보 제 270호

새끼를 품고 있는 어미 원숭이의 모습을 형상화한 연적이다

쪼그리고 앉아 두 팔로 새끼를 받쳐 안은 어미 원숭이와 왼팔을 뻗어 어미의 가슴을 밀며

오른손으로는 어미의 얼굴을 매만지는 새끼의 모습이 보는 이로 하여금 애틋한 모자의 정을 느끼게 한다

고려시대 귀족들이 원숭이를 애완용으로 길렀고 원숭이가 지니는 길상적인 의미를 감안하면 귀족들의 책상에 놓여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

존 개스비 전시실에는 간송 전형필이 영국인 수집가 존 개스비(John Gadsby)로부터 구입한 고려청자 20점 중 12점이 전시되어 있다

*

존 개스비는 일본 도쿄에 주재했던 영국인 법률가로 변호사 일을 담당했다

일본 중요 미술품으로 지정된 나베시마이로에화훼문병을 필두로 일본에 수십 년의 시간 동안 꾸준히 도자기를 모아왔으며

특히 고려자기에 대한 애정이 높아 일본 국내는 물론이고 한국까지 오가며 탁월한 심미안으로 선택된 컬랙숀을 구성하게 됐다

1936년 2월 26일 군사반란을 통해 전쟁을 직감하고 수장품을 처분한 뒤 도쿄를 떠났다

후에 중국 상하이에서 영국공사관 변호사로 근무한 흔적이 보이나 그 후에 행적은 밝혀진 바 없다

 

 

 

 

청자상감국모란당초문모자합

표면 전체에 국화와 연화문이 사용되었는데 상감표현의 최대 장점인 흑백 대비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고려의 어느 왕실이나 귀족의 주문으로 제작되어 향(香)합이나 화장(化粧)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합이다

커다랗고 둥근 모합과 다섯 개의 자합으로 이루어진 모자합(母子盒)이다

자합은 다시 팔엽형(八葉形)의 상대적으로 큰 합 한 개와 그 합을 에워싼 4개의 분리 가능한 같은 형태의 삼엽형 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면 전체에 국화와 연화문이 사용되었는데, 상감표현의 최대 장점인 흑백 대비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기념품점

대한콜랙숀 도록 · 그림엽서 · 찜그릇 등을 팔고 있다

 

 

 

 

간송 관련 그림과 책 판매대

 

 

 

 

디자인둘레길

지하 2층에서 지상 4층까지 총 533m 통로가 완만한 경사로 이어진 길인데

전시 시설의 각 공간을 잇는 통로이자, 체험 전시와 전시 휴게 및 대기 공간이 있다

*

키스 해링전을 들어가기 위해 기다리는 줄이다

 

 

 

 

키스 해링전 입구다

 

 

 

 

키스 해링(Keith Allen Haring · 1958년 5월 4일~1990년 2월 16일)

1980년대 뉴욕의 거리문화에 영향을 받은 미국의 미술가이자 사회 운동가였다

그래피티 예술가로 잘 알려진 인물로서, 하위문화로 낙인 찍힌 낙서화의 형식을 빌려 새로운 회화 양식을 창조하였다

간결한 선과 강렬한 원색, 재치와 유머가 넘치는 표현으로 그의 이미지는 세계적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KEITH HARING

Art is Life. Life is Art.

 

 

 

 

기념품점

키스 해링 그림이 있는 옷 · 핸드폰 케이스 · 그림엽서 등이 있다

 

 

 

 

키스 해링

"나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능력으로 세상에 공헌합니다

나는 최대한 많이 · 최대한 많은 이들을 위해 · 최대한 오랜 시간 동안 그림을 그릴 것입니다."

 

 

 

 

키스 해링은 뉴욕의 지하철에서 세련되고, 노련하며, 즉흥적인 그래피티를 보았다

그리고 이 그래피티는 해링에게 작업의 계시가 되었다

그래피티 작가들이 드러내는 '태그' 또한 그에게 숭배의 대상이었다

지하철 속 그래피티를 이른바 '발견한 후' 해링은 타인과 소통하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를 깨닫게 되었다

이후 그는 탄생 · 죽음 · 사회 · 전쟁과 같이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주제를 표출하기 위해

흰색 분필을 사용하여 검은 종이로 덮힌 광고판에 아기 · 동물 · 텔레비젼과 사람들을 그려 넣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자 했다

해링은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그림을 그렸다

공공 장소에서 그린 그래피티로 인해 역무원이나 경찰에게 잡혀갈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해링에게 이 위험성은 작업의 쾌감을 더 키웠다. 하루에 많게는 40여 점의 작품을 그릴 정도였다

이 지하철 드로잉을 통해 키스 해링이라는 이름이 사람들에게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나는 많은 이들이 경험하고 탐구할 수 있는 예술 작품

주어진 작품에 대해 개인별로 수많은 해석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예술 작품을 만들고 싶다

어떤 작품도 정해진 의미는 없다

작품의 현실 · 의미 · 개념을 창조하는 것은 바로 관객이기 때문이다

나는 모든 생각을 하나로 모으는 중계자일뿐이다

-키스 해링-

 

 

 

 

어울림광장

유구가 보인다

 

 

 

 

어울림광장 내 동대문운동장 유구 전시

야구장 부지 1루 내야에서 발견된 조선 전기의 건축 유구 중에서 구조와 형태가 온전한 건물 터 4기와 기단 석축 · 담장 등을 선별해 이전 보존했다

조선 전기 문화층의 유구로 미루어 봤을 때 군사관련 건물과 시설로 추측된다

 

 

 

 

늦은 점심을 했다

 

 

 

 

살림터 책방

여행 관련 책이 많았다

 

 

 

 

책들이 나비처럼 날아오는 듯...

웃으라 · 노래하고 춤추고 · 즐기라

 

 

 

 

전철 동대문역 앞이다

마침점이다

 

 

 

 

GPS로 확인하니

걸은거리 4.07km, 소요시간 5시간 13분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파정 서울미술관  (0) 2019.03.23
다색조선, 폴 자쿨레  (0) 2019.03.23
경기도 삼남길 제8길(오나리길)  (0) 2019.03.08
오산 맑음터공원  (0) 2019.03.08
오산 에코리움 생태학습체험관  (0) 2019.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