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이야기

강릉(康陵)

강릉은 조선 13대 명종(明宗 1534~1567 · 재위 1545~1567)과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1575)의 능이다

명종은 중종과 문정왕후의 아들로 1539년(중종 34) 경원대군(慶源大君)에 봉해졌고

1545년 이복형인 12대 인종이 세상을 떠나자 12살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즉위 초 8년간은 어머니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을 맡았고 이후 직접 정사를 돌보며 외척 세력을 견제하고자 노력하였다

34세의 나이로 경복궁 양심합에서 세상을 떠났다

*

인순왕후 심씨는 청릉부원군 심강의 딸로 1542년(중종 37) 경원대군의 부인이 되었고, 명종의 왕위에 오르자 왕비에 책봉되었다

명종과의 사이에서 순회세자를 낳았으나 순회세자는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일찍 세상을 떠났다

후에 중종의 아들 덕흥대원군의 셋째 아들인 하성군(14대 선조)을 양자로 입양하여 왕위에 오르게 하고 8개월간 수렴청정하였다

44세의 나이로 창경궁 통명전에서 세상을 떠났다

*

강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 형태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명종 · 오른쪽이 인순왕후 능이다

봉분에는 병풍석과 난간석을 둘렀다

 

 

강릉(康陵)

서울장미축제에 참여했다 강릉으로 간다

화랑로 육교 위에서 봤다

 

 

 

 

담터사거리 방향이다

 

 

 

 

불암산

 

 

 

 

삼육대학교

 

 

 

 

강릉 입구

 

 

 

 

강릉(康陵) 안내판

 

 

 

 

금천교(禁川橋)

속세와 성역의 경계 역활을 하는 다리다

 

 

 

 

홍살문(紅箭門) · 판위(板位)

신성한 장소를 보호하는 구실을 하며 주로 사당이나 관아 · 향교 · 서원 · 왕릉 등에 세웠다

대개 붉은 칠을 한 둥근 기둥 두 개 위에 가로대를 놓고 화살 모양의 나무살을 가로대 위에 꽂으며 가운데에는 태극 문양과 삼지창 장식을 하였다

*

판위는 왕이 능이 있는 구역에 들어서면서 경건한 마음으로 기다리는 공간이다

 

 

 

 

강릉(康陵) 안내판 · 상설도 해설

 

 

 

 

향로(香路) · 어로(御路)

향로는 제향을 지낼 때 제관이 향과 축문을 들고 가는 길 · 어로는 왕이 제향을 올릴 때 다니는 길이다

 

 

 

 

정자각(丁字閣)

왕릉에서 제향을 지내는 건물로 침전이라고도 한다

정자각은 제향 음식을 차려 놓는 정전과 제례를 올리는 배위청이 합쳐져 있는데 건물 위에서 내려다본 모양이 丁(정) 자와 같아 정자각이라 불렀다

왕릉에는 왕과 왕비를 함께 모신 경우에도 정자각은 하나를 세우고 제향을 함께 지냈다

대한제국 때는 침전 안에 집 모양 장식인 당가를 설치하면서 건물의 규모를 늘려, 건물 모양이 '一(일)'자형으로 바뀌었다

 

 

 

 

수라간(水剌間)

제향에 올리는 음식을 준비하는 건물이다

 

 

 

 

예감(叡感)

제향을 지낼 때 사용한 축문을 태우는 곳이다

 

 

 

 

신교(神橋) · 신로(神路)

정자각 뒤에서 능상으로 향하는 왕의 혼을 위한 길이다

 

 

 

 

비각(碑閣)

왕릉에 모신 왕과 왕비의 생애와 업적을 적은 비석인 신도비나 표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보통은 정면 1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비석 수가 늘어나면 칸 수를 늘려 짓기도 했다

 

 

 

 

조선국명종대왕강릉 인순왕후부좌 표석(朝鮮國明宗大王康陵 仁順王后祔左 表石)

강릉의 표석은 영조 29년(1753)에 조성하였다

표석 앞면의 조선국명종대왕강릉인순왕후부좌표석(朝鮮國明宗大王康陵仁順王后祔左表石)은 홍계희(洪啓禧)의 필체이며

뒷면의 비문은 낙풍군 이무(洛豊君 李楙)가 썼다

 

 

 

 

신계(神階) · 어계(御階)

월대(月臺)는 궁궐의 정전 · 향교와 같은 주요 건물 앞에 설치하는 기단이다

 

 

 

 

태릉, 강릉 숲길 안내도

강릉 관람을 마치고 숲길(1.8km)로 태릉으로 갔다

 

 

 

 

강릉(康陵)

 

 

 

 

참나무숲

 

 

 

 

소나무숲

 

 

 

 

태릉 봉분

원래 문정왕후는 남편 중종의 능인 정릉을 현재의 서울 강남으로 옮기고 자신이 세상을 떠난 후 그 곁에 같이 묻히기를 원했다

그러나 옮긴 정릉이 비가 오면 침수 피해를 입는 일이 잦아 문정왕후가 세상을 떠난 후 그곳에 능을 쓸 수 없어 현재의 자리에 능을 조성했다

태릉 봉분에는 병풍석과 난간석을 둘렀다

 

 

 

 

비각(碑閣) · 수복방(守僕房)

수복방은 능을 지키는 수복들이 머무르는 건물이다

 

 

 

 

비각(碑閣)

왕릉에 모신 왕과 왕비의 생애와 업적을 적은 비석인 신도비나 표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보통은 정면 1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비석 수가 늘어나면 칸 수를 늘려 짓기도 했다

 

 

 

 

정자각(丁字閣)

왕릉에서 제향을 지내는 건물로 침전이라고도 한다

정자각은 제향 음식을 차려 놓는 정전과 제례를 올리는 배위청이 합쳐져 있는데 건물 위에서 내려다본 모양이 丁(정) 자와 같아 정자각이라 불렀다

 

 

 

 

정자각(丁字閣)

왕릉에는 왕과 왕비를 함께 모신 경우에도 정자각은 하나를 세우고 제향을 함께 지냈다

대한제국 때는 침전 안에 집 모양 장식인 당가를 설치하면서 건물의 규모를 늘려, 건물 모양이 '一(일)'자형으로 바뀌었다

 

 

 

 

기신제(忌晨祭) 순서 사진

 

 

 

 

판위(板位)

왕이 능이 있는 구역에 들어서면서 경건한 마음으로 기다리는 공간이다

 

 

 

 

금천교(禁川橋)

속세와 성역의 경계 역활을 하는 다리다

 

 

 

 

서울 태릉과 강릉 안내도

 

 

 

 

걸은 거리 10.6km · 소요시간 4시간 38분

*

(2023. 05. 24)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산 보적사  (0) 2023.06.03
헌인릉  (0) 2023.05.31
중랑장미공원  (0) 2023.05.28
시흥갯골생태공원~수도권해양생태공원  (0) 2023.05.28
이성규 삼부자 효자문  (0) 2023.05.12